매일신문

"내년 북중미월드컵 결승, 오전 9시 개최 고려해야"

미국 폭염으로 선수 보호 의견…FIFPRO "온열지수 32도 넘으면 경기 연기해야"

열기를 식히는 알아인의 박용우. AP=연합뉴스
열기를 식히는 알아인의 박용우. AP=연합뉴스

미국을 강타하는 폭염으로부터 선수를 보호하기 위해 내년 국제축구연맹(FIFA) 북중미 월드컵 결승전은 오전 9시에 진행해야 한다는 전문가의 의견이 나왔다.

1일(한국시간) 영국 BBC에 따르면 극한 온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영국 포츠머스대의 마이크 팁턴 교수는 월드컵 결승이라도 아침 시간대로 재편성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좋은 해결책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2025 FIFA 클럽 월드컵에 열리고 있는 미국에서는 폭염이 골칫거리다.

특히 열돔 현상 등으로 미국 동부 지역에서는 30도 중반을 웃도는 불볕더위가 이어진다.

지난주엔 미국 동부에서 온열 질환으로 수십 명이 병원에 입원했고, 뉴욕은 39도로 역대 6월 최고 기온을 경신했다.

그런데도 유럽의 '황금 시간대'를 맞추기 위해 일부 경기의 킥오프 시간은 정오나 오후 3시로 배정됐다.

이번 클럽 월드컵 전체 63경기 중 35경기가 현지시간으로 오후 5시 이전에 편성됐다.

아직 2026 북중미 월드컵 경기 시간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BBC에 따르면 미국 동부 시간대 경기는 현지 시간 정오, 오후 3시, 오후 6시, 오후 9시에 시작될 걸로 보인다.

이 역시 유럽 시청자와 방송사, 광고주 등의 이해관계를 고려한 처사다.

팁턴 교수는 "열생리학적 관점에서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경기를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하는 것이다. 더 시원한 시간대로 킥오프 시간을 옮겨야 한다"며 "선수뿐만 아니라 심판과 관중의 건강을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수만 명의 팬을 아침 일찍 경기장으로 부르는 건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어려움을 인정했다.

국제프로축구선수협회(FIFPRO)는 클럽 월드컵을 본보기 삼아 폭염 시엔 하프 타임 시간을 20분으로 연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FIFPRO는 건강과 안전은 상업적 측면보다 우선돼야 하며, 기온과 습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온열지수(WBGT)가 28도를 넘으면 휴식 시간을 추가하고 32도를 넘어서면 경기를 연기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BBC는 "1994년 미국 월드컵 당시 플로리다주와 텍사스주 기온이 38도를 넘었고, 2023년엔 멕시코 몬테레이의 온열지수가 50도에 육박했으며 마이애미의 온열지수는 44도까지 올랐다"고 전했다.

이어 "이번 폭염에서 뉴욕 등 일부 지역은 온열지수가 50도가 넘는 걸로 느껴졌을 것"이라며 "기후 변화는 폭염 발생 가능성을 점점 높인다. 내년 북중미 월드컵은 역대 가장 더운 월드컵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