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전승절 초대 받는 李대통령…미중 사이 실리외교 시험대 올라

한미 정상회담 아직인데… 고래싸움에 새우 등 터지지 않을 방안 고심

외교부는 2일 강영신 동북·중앙아국장이 한국을 방문한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국장과 전날 한중 국장급 협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양국은 오는 10월 말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은 지난 1일 한중 국장급 협의에 참석한 강영신 동북·중앙아국장(오른쪽)과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국장.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연합뉴스
외교부는 2일 강영신 동북·중앙아국장이 한국을 방문한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국장과 전날 한중 국장급 협의를 가졌다고 밝혔다. 양국은 오는 10월 말 경북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관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진은 지난 1일 한중 국장급 협의에 참석한 강영신 동북·중앙아국장(오른쪽)과 류진쑹 중국 외교부 아주국장. [외교부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연합뉴스

이재명 정부가 표방하는 국익중심의 실리외교가 시작부터 혹독한 시험대에 오르게 됐다. 'G2'로 불리는 세계 최강국, 미국과 중국이 우리를 향해 노골적으로 '누구 편'인지를 묻는 행보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에선 전략적 모호함을 지렛대로 대한민국의 이익을 극대화하겠다는 이 대통령의 구상이 엄중한 국제정치 현실의 벽에 부딪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내놓고 있다.

서울에서 2일 진행된 한국과 중국의 외교국장급 회의에서 중국은 오는 9월 수도 베이징에서 열리는 '항일전쟁 및 세계 반파시스트전쟁(제2차 세계대전) 승리 80주년 대회'(전승절)에 이 대통령의 참석을 희망한다는 메시지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미국과의 통상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계기가 될 한미 정상회담 개최가 늦어지고 있어 우리 정부로서는 미국이 불편해 할 수 있는 중국의 제안을 수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일 언론공지를 통해 "이 대통령의 중국 9·3 전승절 80주년 기념식 참석 여부는 한중 간 관련 사안에 대해 소통 중에 있다"며 "외교 채널에서 이뤄지는 구체 내용을 밝혀드리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양해해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에 여권에선 서둘러 한미 정상회담을 개최하고 통상협상과 관련한 성과를 만든 후 중국의 초청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는 "중국의 전승절까지는 시간이 있기 때문에 일단은 한미 정상회담 개최와 통상협상의 성공적인 마무리에 집중한 후 미국의 양해 분위기 속 중국의 제안을 검토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3일 진행될 이 대통령의 취임 후 첫 대국민기자회견에서도 이 부분에 대한 언론인들의 질문이 쏟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