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석포제련소 이전 용역' 발주에 봉화 민간·사회단체 반발

석포제련소 주민 생존권 사수 추진협의회 "이전 필사적으로 막겠다" 주장

영풍 석포제련소 폐수 재이용시설. 영풍 제공
영풍 석포제련소 폐수 재이용시설. 영풍 제공

경북도가 추진하는 석포제련소 이전 용역을 두고 영풍 석포제련소 주민 생존권 사수 추진협의회(이하 협의회)가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경북도 지난 28일 도청에서 '석포제련소 이전 타당성 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 용역' 착수보고회를 갖고 앞으로 1년간 석포제련소 이전 필요성 검토·비용 추산, 환경오염 예방 대책 마련, 이전 후보지 발굴 및 입지 분석, 기존 부지 개발방안 수립, 오염지역 환경 복원, 국내외 이전 사례 분석 등을 나섰다.

이 같은 소식이 전해지자 협의회는 "경북도가 지역을 대표하는 주민들의 의견을 듣지 않은 채 자기들 맘대로 용역을 추진했다"며 "경북도의 일방적인 석포제련소 이전 추진은 주민 의사에 반하는 행동이다.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질타했다.

또 "석포제련소는 공장 규모가 너무 커서 뜯을 수도 옮길 수도 없어 이전이 불가능하다"며 "이 회사가 없어지면 석포면이 사라지게 된다. 대체 부지도 없는데 이전부터 하겠다고 용역을 착수하는 것은 주민의사가 반영되지 않은 비 현실적인 용역일 뿐"이라고 반발했다.

위원회에 자문역할을 맡고 있는 박창욱 경북도의원은 "폐쇄만이 답은 아니다. 기업을 살려서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아야 된다"며 "앞으로 회사는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철저히지키야 되고 주민들은 감시자 역할을 해야 된다. 이전은 지역 경제에 사활이 걸린 문제다 쉽게 이전을 추진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이번 용역은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대기, 수질, 폐기물 등 환경문제와 노동자 사망사고, 석포제련소 이전 등의 문제에 대한 질의가 이어지자 지난해 11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면서 본격 추진됐다.

이에 대해 경북도 관계자는 "석포제련소에 대한 대책 요구가 계속 제기됐고 이에 따라 용역을 추진하게 됐다"며 "용역이 석포제련소 이전만을 전제로 하는 것은 아니며 석포제련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영풍 석포제련소 주민 생존권 사수 추진협의회는 청년회의소, 이장협의회, 새마을단체, 바르게살기협의회, 농업경연인단체, 농협협동조합, 산림조합, 문화원, 체육회, 의용소방대, 라이온스·로타리클럽 대표 등으로 구성됐고 도의원과 군의원이 자문위원, 군 공무원들이 정책 및 행정지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한편, 석포제련소는 그동안 폐수 무단 배출 및 무허가 배관설치로 조업 정지 처분을 받는 등 환경문제 등으로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