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 정부, '4년 연임 개헌·권력기관 개혁' 등 123大 국정과제 확정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대통령 4년 연임제 등 권력 구조 개편 논의 방침 명시
4년 연임제, 야권서 "장기 집권 구상" 등 비판 받기도
수사·기소 분리 등 권력 기관 개혁 방안들도 담겨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세종시 전동면 조일농원에서 열린 청년 농업인 간담회에서 참석자 발언을 메모하며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세종시 전동면 조일농원에서 열린 청년 농업인 간담회에서 참석자 발언을 메모하며 경청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헌 등 이재명 정부가 5년간 중점 추진할 국정과제 123건이 16일 확정돼 새 정부 운영의 밑그림이 완성됐다. 4년 연임 개헌, 권력 기관 개편 등 정치·사회는 물론 남북관계, 외교, 국방, 경제발전, 균형발전 등 분야별 계획안들이 포함됐다.

개헌안의 경우 논의 진행 경과에 따라 이르면 내년 지방선거에서 찬반 투표를 실시하겠다고 밝혀 정치권이 조만간 '개헌 소용돌이'에 휩싸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부는 이날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가 제안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과 그 안에 포함된 123대 국정 과제를 확정했다.

이날 확정된 국정과제에서 첫 번째는 정치 분야 과제인 헌법 개정이 채택됐다. 여기에는 대통령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등 권력 구조 개편 방안을 논의하겠다는 구상이 명시됐다.

개헌 로드맵으로는 국회의 개헌안 마련, 정부 의견 제출 등 과정을 거쳐 2026년 지방선거 또는 2028년 국회의원 선거와 동시에 찬반 투표를 하겠다고 밝혔다.

개헌 논의가 빠르게 진행될 경우 당장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개헌 블랙홀'에 빨려 들어갈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4년 연임제 등 권력 구조 개편 방안과 관련, 야권에서 '이 대통령 자신의 장기 집권 구상'이라는 등 거세게 반발한 바 있어 향후 논의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헌법 128조 2항은 헌법 개정 시 이를 제안한 대통령에 대해 효력이 없다고 명시돼 있으나 '국민의 뜻' 등을 명분으로 이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여권이 각종 법안을 강행 처리했듯이 헌법 개정안 역시 힘으로 밀어붙일 수 있는 것 아니냐"면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대통령 지지율이 어느 정도로 유지되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라고 했다.

이 외 수사·기소 분리를 비롯한 검찰, 경찰, 감사원 등 권력 기관 개혁, 군의 정치적 개입 방지,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 등도 개혁 과제로 반영됐다.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 외교·안보, AI(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 등 경제·성장, 세종 행정수도 완성 및 2차 공공기관 이전 등 균형 성장 등 분야별 과제들도 두루 담겼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수준의 산업재해 감축, 청년 미래 적금 도입, 법적 정년 단계적 연장 입법, 연금 사각지대 해소, K-컬처 수출 50조 원 및 K-관광 3천만 명 달성 추진 등도 국정과제로 선정됐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