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전문대, 장학금 전국 상위권…"재원 다변화 과제"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024년 장학금 총액과 1인당 지원 모두 상위권
꾸준한 장학금 증가율, 전국 평균 웃돌아
1인당 438만 원… 교육경쟁력 높인 장학금 혜택
국가장학금 등 외부 의존도 77%…재원 다변화 과제

영진전문대 전경
영진전문대 전경
대구보건대 전경
대구보건대 전경

대구경북 전문대들이 장학금 지원에서 전국 상위권을 차지했다. 장학금 총액과 1인당 지원액 모두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며 학생들의 학업 부담을 줄이는 가운데 여전히 국가 장학금 등 교외 의존도가 높아, 향후 재원 다변화 등의 과제도 안고 있다.

21일 대학알리미 공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전국 전문대 166곳 가운데 지난해 장학금 총액 상위 10곳 중 대구경북 지역 전문대 4곳이 이름을 올리며 두각을 나타냈다. 영진전문대(316억9천만원)가 전국 2위를 차지했고, 구미대(301억4천만원)는 4위, 대구보건대(279억3천만원)는 6위, 영남이공대(260억3천만원)는 9위에 올랐다.

대구경북 전문대는 장학금 확대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해 대구 10곳과 경북 18곳의 장학금 총액은 2천943억3천만원으로 전년 대비 5.7% 늘었다. 이는 2022~2023년 사이 증가율 3.2%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지난해 대학별 증가율을 보면 대구에선 영진전문대가 8.1%로 가장 높았고, 대구과학대(7.8%)와 대구공업대(7.8%), 영남이공대(7.5%) 등이 뒤를 이었다. 경북(50억원 이상 기준)에선 경북과학대(14.1%)와 포항대(11.3%), 경북보건대(9.4%), 경북전문대(9.4%), 구미대(8.4%) 등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재학생 1인당 장학금에서도 대구경북 전문대는 전국 상위권을 휩쓸었다. 대구공업대는 588만원으로 전국 2위를 기록했고, 구미대(572만원)가 3위, 대구과학대(547만원)가 6위, 문경대(519만원)가 8위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계명문화대(509만원)와 포항대(493만원), 대경대(486만원), 수성대(482만원), 영남이공대(472만원), 영진전문대(471만원), 대구보건대(439만원) 등도 모두 전국 평균 403만원을 크게 웃돌았다.

대구경북 전문대의 평균 1인당 장학금도 꾸준히 상승했다. 2022년 404만원에서 2023년 414만원으로 2.4% 늘었고, 지난해에는 5.7% 증가해 438만원을 기록했다. 특히 지난해 대구에선 대구공업대가 14.8%로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고, 대구과학대(9.2%), 영진전문대(8.3%), 영진사이버대(7.5%), 영남이공대(6.0%), 계명문화대(5.4%)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 대학의 장학금은 77%가 교외 장학금으로, 이는 대부분 국가 장학금이다. 나머지가 교내 장학금이다. 이렇듯 정부·지자체 등 외부 의존도가 높은 편이어서, 재정 여력이 약한 곳은 예산·경기 변동에 따라 취약하다는 점이 지적된다.

앞으로 교내 기금 확충과 동문·지역기업 지정 장학 등 재원을 다변화해 외부 의존도를 낮춰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또한 등록금 감면은 물론 주거·교통·식비 등 생활비 성격의 장학을 확대할 필요도 있다.

한 전문대 관계자는 "국가장학금을 비롯해 성적 우수와 저소득층, 근로 등 다양한 장학 제도를 마련해 학생들의 학업 부담을 줄이고 있다"며 "앞으로 교내 재원 확충과 산학·동문 기금 다변화를 통해 학생 삶을 지지하는 생활비 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영남이공대 전경
영남이공대 전경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