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식당서 담배피고, 관광지에 용변 보고…무개념 中관광객에 '신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식당 실내에서 흡연하는 중국인. JTBC 사건반장 방송화면 캡처
식당 실내에서 흡연하는 중국인. JTBC 사건반장 방송화면 캡처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중국인 관광객이 연루된 각종 무질서 행위가 전국 곳곳에서 잇따라 발생해 시민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음식점 실내에서 흡연을 하거나, 천연기념물 지역에서 아이의 용변을 보게 하는 등 상식 밖의 행동들이 목격됐다.

JTBC '사건반장'은 지난 9일 수도권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A씨의 제보를 전했다. A씨에 따르면, 추석 연휴였던 6일 밤 9시 30분쯤 중국인 손님 7명이 식당으로 들어왔다. 당시 A씨는 주방에 있었고, 직원 한 명이 홀에서 손님을 맞이했다.

문제는 이들 중 남성 2명이 자리에 자마자 담배를 피우기 시작하면서 벌어졌다. A씨는 "남자들이 자리에서 담배를 피우더라. 눈으로 보니까 진짜 화가 났다"며 "담배 피우면 안 된다. 노 스모킹"이라고 제지했지만, 손님들은 못 들은 척하며 계속 담배를 피웠다. 결국 일행 중 한 명이 "담배를 끄라"는 식으로 말하자 그제야 담뱃불을 바닥에 털고 자리를 정리하는 척했다. A씨는 "담뱃불을 발로 밟아 끄지도 않았다. 바닥을 봤더니 담배꽁초에 침도 많이 뱉어놓은 상태였다"고 했다.

일행 중 일부 여성들도 테이블 밑으로 담배를 숨긴 채 흡연을 이어갔고, 바닥에 침을 뱉거나 재를 털어버리기도 했다. A씨가 한국에서 실내 흡연이 안 된다고 재차 말했지만, 한국어를 할 줄 아는 한 중국인 손님은 "얘네들 차이나야"라며 얼버무렸다고 한다.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르면 금연구역으로 지정된 공중이용시설에서 담배를 필 경우 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10만원 이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다.

문제는 거기서 그치지 않았다. 영업 마감 시간이 지난 뒤에도 이들은 자리를 비우지 않았고, 나중에 화장실에서 또 다른 문제가 발견됐다. A씨는 "화장실로 가보니까 복도까지 소변이 흘러 내려와 있었다"며 "직원이 걸레를 서너 번은 빨아 닦고, 짜고, 또 빨고 다시 닦았다. 우리 직원의 노동력을 그런 개념 없는 사람들한테 쓴다는 게 화가 났다"고 말했다.

A씨는 "이들이 오기 전까지 변기도 멀쩡했다"며 변기까지 파손됐다고 주장했다.

지난 6일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용머리해안에서 아이의 용변을 보게 한 중국인 관광객의 모습. 보배드림 캡처
지난 6일 제주 서귀포시 안덕면 용머리해안에서 아이의 용변을 보게 한 중국인 관광객의 모습. 보배드림 캡처

같은 날 제주도 서귀포시 용머리해안에서도 중국인 관광객의 비상식적인 행동이 논란이 됐다. 천연기념물이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핵심지질명소인 해당 지역에서 한 여성이 어린 자녀의 용변을 보게 하고, 이를 치우지 않은 채 그대로 방치한 장면이 목격된 것이다.

제보자가 공개한 사진에는 한 여성이 쪼그리고 앉아 아이를 안고 있는 모습이 담겼고, 옆에는 물티슈가 놓여 있었다. 제보자는 "중국인 여성이 아기 용변을 뉘다 사람이 너무 많으니 약간 아래로 이동해 마저 다 뉘였다"며 "닦은 물티슈도 그대로 버리고 당연히 용변도 그냥 바닥에 있었다. 정말 어이가 없었다"고 전했다.

이어 "옆쪽에 인솔하는 가이드로 보이는 분이 있어 조용히 물으니 조선족이라고 하더라"며 "중국인 여행객에게 선입견을 안 가지려 하는데 쉽지 않다"고 말했다.

법무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달 한국에 입국한 중국인은 52만5천396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45만1천496명)보다 16.4% 증가했다.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최근 통계에서도 지난 8월 외국인 관광객 3명 중 1명이 중국인이었으며, 8월 한 달간 한국을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60만5천명이었다.

중국인 관광객 행렬은 이달에도 이어진다. 중국인 단체 관광객 무비자 제도가 지난달 29일부터 시행되면서 서울 명동, 성수동 등 주요 관광지에는 중국인 방문객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추석 연휴가 중국의 국경절·중추절 연휴(10월 1∼8일)와 겹치면서 명동 일대는 연일 관광객으로 붐볐다.

중국 이민관리국은 연휴 기간 하루 평균 출입국자 수가 연인원 200만 명을 넘어섰다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