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경북 높은 유기동물 입양률에도 개체 수는 제자리걸음…입양규정 강화 목소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허술한 자격심사, 학대·방치 위험 여전
자구책 찾는 민간센터들… 전문가 "예산 수반해 제도 보완해야"

AI 생성 이미지.
AI 생성 이미지.

대구경북의 유기동물 입양률이 전국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매년 버려지는 동물 수는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허술한 입양 절차 탓에 어렵잖게 유기동물을 입양한 뒤 재유기하는 사례가 적잖다는 분석이 나온다.

농림축산검역본부의 반려동물 보호복지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경북에서 발생한 유기동물은 각각 4천423마리, 8천690마리였다. 같은 기간 전국에서 발생한 유기동물은 모두 10만6천824마리에 달했다.

업계는 해당 수치는 전국 지자체 동물보호센터에 입소한 개체를 집계한 것으로 버려진 뒤 발견되지 않은 동물까지 포함하면 실제 유기동물은 이보다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문제는 대구경북의 유기동물 입양률이 전국과 비교해 유독 높은데도 발생은 줄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유기동물 입양 플랫폼 포인핸드에 따르면 지난해 경북과 대구 유기동물 입양률은 각각 37.4%, 34.2%로 전국 17개 시도 중 1, 2위를 차지했다. 전국 평균 입양률 27.0%와 비교하면 차이가 컸다.

이를 두고 업계는 유기동물을 입양한 반려인이 재차 동물을 유기하는 사례가 적잖은 탓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입양 자격과 절차가 지나치게 느슨해 학대나 재유기 위험을 걸러낼 수 있는 장치가 사실상 부재하다는 지적도 잇따르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지침에 따르면 학대 전력이 있거나 식용견 사육장 운영자, 반려동물 영업자가 아닌 이상 누구나 입양이 가능하다. 입양 희망자에게 건강을 위한 기본 치료를 의무화할 근거도 없다.

대구의 한 민간 입양센터 관계자는 "입양을 권장해야 한다며 자격 조건을 낮추면, 동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어 서약서를 작성하도록 한다"며 "지자체에서 관리하는 센터의 경우 입양을 적극 권장해 실적을 올리기 위해 입양의 허들을 낮게 지정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동물 보호를 위해 입양 절차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서병부 대구대 반려동물산업학과 교수는 "입양 전 예방접종과 건강검진, 학대 방지책과 같은 기본 조치는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며 "다만 입양 절차를 개선하는 데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공감대가 필요하다. 유기동물 관리의 필요성을 시민에게 교육하는 일도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