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새마을AI운동' 추진…근면·자조·협동 정신 AI시대에 되살린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DB.

'근면' '자조' '협동'의 새마을운동 정신이 인공지능(AI)으로 부활한다.

경상북도는 새마을AI운동 추진을 위해 경주 K-비즈니스라운지에서 DQ연구소와 디지털 격차 해소 및 역량강화, 디지털 윤리 정립 등을 골자로 하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경북도는 새마을 정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새마을AI운동'을 추진한다. 저개발국가에 디지털 역량·윤리 교육 플랫폼을 적용해 AI시대 국가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목표로 향후 해당 플랫폼의 국제 표준 인증까지 추진한다.

산업화·근대화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새마을운동은 2000년대 이후에는 국가 간 소득격차 해소를 위해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통해 개발도상국에 보급되고 있다. 도는 인공지능이 가져오는 국가 간 생산성 격차 확대에 주목해, 앞으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AI디지털교육 등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날 도와 업무협약을 체결한 DQ연구소는 싱가포르 소재 디지털 교육·정책분야 글로벌 표준 연구기관이다. 2019년 디지털 지능(Digital intelligence quotient) 글로벌 국제표준보고서를 수립해 디지털 인재 10억명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앞으로 도는 개도국에 디지털 역량·윤리교육 시범 실시 등을 추진한다. 또 교육 결과를 분석해 국내 취업 등에 활용하는 초기 플랫폼 개발 등도 나선다.

향후에는 UNESCO·UNDP·IEEE 등 국제기구와 연계해 글로벌 디지털 역량 표준을 선도적으로 제시하는 등 지방정부 차원에서 국제표준 지정에도 나설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AI 시대에는 디지털 역량과 윤리가 지역과 국가의 운명을 결정짓는 핵심요소가 될 것"이라며 "APEC 정상회의 개최를 통해 경주가 국제적 아젠다의 중심에 서는 기회를 잘 활용해 글로벌 디지털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