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수능 점수를 1점도 남김없이 다 활용해서 최선의 선택을 하려면 가채점이 시작되는 지금부터 나에게 유리한 수능 활용 방법을 찾는 데 집중해야 한다. 수능 시험 직후 수시 대학별고사가 시작되기 때문에 가채점 결과로 정시 지원 가능권을 가늠하고 수시 지원 대학과 비교하여 대학별고사의 응시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또한, 수시 지원 대학의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 여부 역시 가채점 결과로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정확한 가채점 결과 분석이 강조될 수밖에 없다.
먼저, 수시 대학별고사에 응시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한 선택 기준이 곧 가채점 결과로 정시에 지원할 수 있는 대학이 수시 지원 대학에 비해 상위권 대학인가 아닌가 하는 것이다. 가령, 수시에서 A대학을 지원했을 때, 정시 가채점 결과로 A대학은 물론 이보다 상위권인 B대학까지 지원해볼만 하다면 수시 대학별고사를 포기해야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가채점을 단순히 영역별 원점수를 확인하는 채점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대입에서 활용되는 표준점수, 백분위 기준의 영역별/반영영역 조합별 전국에서의 석차뿐 아니라 경쟁자와 비교한 유불리 영역 및 반영 영역 조합을 분석하지 않으면, 정시 지원 대학의 유불리를 판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파악이 뒷받침이 된 후, 충분히 수시보다 더 높은 수준의 대학을 정시 지원할 수 있다는 판단이 선다면 이 경우엔 '수시 합격'을 막기 위해서라도 대학별고사 응시를 피하는 것이 좋다. 다만 이 경우 수능 성적이 확정 발표되기 전까지는 어떤 것도 정확하다고 말할 수 없으므로, 가채점 성적이 애매할수록 가급적이면 보수적으로 대학별고사에 응시하는 것이 좋다.
이와는 반대로 대부분의 학생들은 가채점 결과에 상관없이, 그것이 논술이든 면접이든 대학별고사에 사활을 걸어야 하는 상황일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대부분의 수험생이 수시에서 상향 지원하는 만큼 정시와 수시의 대학 수준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데다 정시 지원권이 수시보다 상위권인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는 기준이 되는 것이 '내 수능 점수로 그 대학, 또는 그보다 상위 대학에 정시 지원이 가능한지'가 판가름을 좌우할 터인데, 이때에 가장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것이 곧 전년도의 입시결과이다. 자신의 가채점 예상 성적과 지원 대학이 발표한 전년도 결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다만 여기서도 중요한 것은 단순한 총점의 합으로써 판단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상대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있는 지금, 가채점 단계에서부터 정시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한 지원 전략 수립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즉, 자신의 대략적인 위치 및 지원 가능선을 점검했다면, 군별로 최소 5개 이상 지원할 만한 대학/학과를 선별하고, 입시 정보를 수집, 분석하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가령, 백분위와 표준점수 중 어떤 지표를 활용할 때 유리한지, 나와 비슷한 점수대의 학생들은 주로 어떤 지원을 할 것인지 등을 다각도로 살펴보는 것이다. 가채점 단계에서 이 과정을 미리 해두면, 성적 발표 이후 본격적인 정시 지원 포트폴리오 작성 과정에서 좀 더 선명하고 구체적인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차상로(송원학원 진학실장)





























댓글 많은 뉴스
[기고-김성열] 대구시장에 출마하려면 답하라
"항소포기로 7천800억원 날아가"…국힘, 국정조사 촉구
대법 "아파트 주차장 '도로' 아냐…음주운전해도 면허취소 못해"
[화요초대석-김영수] 국가가 망가지고 있다
李대통령 지지율 54.5%…'대장동 항소포기' 논란에 3주 만에 하락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