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정권이행기의 체제경직성과 경제난으로 10년이내에 파탄 가능성이 많으며 북한의 제반 위험성을 막고 개혁.개방을 지원하기 위해 APEC(아태경제협력각료회의)가입등을 검토해야한다는 주장이 나왔다.학계.재계인사로 구성된 민간정책연구기관 {일본국제포럼}은 8일 {아시아사회주의제국의 변화와 일본의 대응}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북한을 비롯, 중국.베트남등 3국에 대한 일본의 외교방향을 제언하는 가운데 이같이 밝혔다.이 보고서는 북한정권이 {포스트 김일성}에의 이행기를 맞아 늦어도 10년이내에 체제경직성과 경제적 요인으로 루마니아형 파탄등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제, 핵확산방지조약(NPT)탈퇴문제를 포함해 대화와 개혁.개방쪽으로 끌어내는데 당면 대북한정책의 역점을 둬야 한다고 지적했다.구체적으로 보고서는 *북한 내부의 개혁.개방파를 지원하는 외부조건을 양성하고 *개방을 지원토록 APEC가입등도 검토 *남북경제교류 증진, 두만강 개발지원등으로 외화도입 촉진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