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광주비엔날레의 작품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광주비엔날레를 다녀온 일반인이나 학생들에게 감상한 소감을 여쭈면 어떻게 답할까? 한마디로 궁금한 부분이 아닐수 없다. 갑자기 알려진 비엔날레,그리고 국민적 관심, 너도 나도 가보고 싶은 광주, 관광이 아닌 진정한 미술품 관람을 위한 여행이었는지 묻고 싶다.대구에서도 많은 전시회가 열렸고 현재도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평소 전시장을 찾든 사람이 광주비엔날레를 구경갔는지? 아니면 분위기에 휩싸여 너도 나도 가게 되었는지 궁금하다. 아마도 후자일것이다. 그래서인지 광주는 교통이 혼잡하고 비엔날레 전시장은 연일 관광인파로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아쉽다면 외국인이 눈에 잘띄지 않을 뿐 전시열기는 최고조에 달한다. 마치 기네스북을 깨뜨릴 듯한 기세이다. 올해가 미술의 해이고또한 국제화 시대의 미술흐름에 부응하듯 국민들의 미술에 관한 관심을 심어줄 좋은 기회이다. 그러나 작품이라면 자연을 보고 그리거나 내용을 읽을 수있는 정도의 미술품이어야 하며, 추상이나 실험작품을 이해 못하는 일반인들의 안목이고 보면 갑자기 접하는 설치미술은 전혀 엉뚱하고 생소한 것들이다. 보통 어렵거나 기준미달(?)의 그림을 대한 사람들의 촌평은 "피카소 그림같다"고들 한다.

물론 피카소나 샤갈같은 유명인의 작품도 볼수 있는 기회이다. 그러나 세계 곳곳에서 건너온 설치미술품들은 오히려 그보다 더 이해가 곤란한 것들이많다.

평소 미술품이 어렵다던 관객들이 광주비엔날레를 둘러본 소감은 무엇일까? 특히 묘사력과 자연의 소재그림을 선호하는 대구의 시민들은 무엇을 느꼈을까?

그것은 광주를 다녀온 한 어린이의 답변에서 정답아닌 답을 찾을 수 있었다.

왈"쓰레기 뿐이데요"

〈한국화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