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총련사태와 관련, 박일룡(朴一龍)경찰청장이 시위대에 총기사용을 불사하겠다는 방침을 밝힌데이어 20일 새벽 농성장에 경찰병력을 투입, 강경진압에 나서자 정치권은 우려의 목소리를 감추지않고 있다.
그러나 정치권은 경찰의 총기사용방침과 한총련사태의 조기해결을 위한 경찰의 조치에 대해 각기다른 반응을 보였다. 여야 모두 국민여론이 외면하고있는 한총련의 통일운동방식과 폭력시위행태에는 단호했으나 경찰의 총기사용방침에는 반대와 신중론으로 의견이 엇갈렸다. 야권은 국회내무교육위등 관련상임위를 조속히 소집, 국회차원의 대책을 촉구했다.
신한국당은 한총련사태의 조속한 해결을 위한 불가피한 조치 라며 경찰의 강제해산을 두둔했다.이수성(李壽成)총리가 19일 단순가담자에 대해 관대한 처분을 하겠다고 밝힌데 이어 경찰이 진압에 나선 것은 폭력시위를 주동하고있는 세력들과 일반학생들을 분리하려는 불가피한 조치였다는논리다.
그러나 학생들의 폭력시위가 국민들의 지지를 받지못하고 용인할 수 없는 한계를 넘어선 것이긴하지만 총기사용방침 또한 과잉조치라는 비판을 받을 소지가 적지않다는 의견도 흘러나왔다.국민회의의 공식입장은 유례없이 분명하다. 박홍엽(朴洪燁)부대변인은 한총련지도부의 통일문제주장과 폭력사용에 대해 단호히 반대한다 며 당의 입장을 분명히 하고 폭력시위를 주도한 한총련사태의 주동자들은 의법처리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말했다. 박부대변인은 그러나 학생들이 수천개의 쇠파이프와 화공약품을 구입,반입하고 수천명의 학생들이 집결하기까지 아무런 정보나 사전대책을 가지지못한 정부의 무책에 놀라움과 우려를 금할 길 없다 며 치안문제에서 국정관리능력의 파탄을 드러내고있는 정부 또한 국민앞에 사과해야한다 고 지적했다.
김근태(金槿泰)부총재와 이해찬(李海贊)정책위의장등 재야출신의원들이 전날 한총련사태의 평화적해결을 요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한 후라 이날 경찰의 강제진압을 대하는 국민회의의 입장은 자유롭지는 않다. 이들은 한총련의 괴리된 통일문제인식과 국민합의에 기초하지않은 통일운동방식,폭력적인 의사표시방식에 동의할 수 없다 며 한총련을 비판했다.
김종필(金鍾泌)총재가 더이상 학생들의 시위에 눈치를 보면 안되며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한다며 보수세력의 목청을 높인 자민련은 박청장의 총기사용방침에 대해서는 강하게 반발했다. 안택수(安澤秀)대변인은 사상적으로 미성숙한 대학생을 일반폭도와 동일시하여 총기류를 사용하더라도 진압하겠다는 박청장의발상은 도저히 이해할 수없다며 빈대를 잡기위해 초가삼간을 불태우는과잉충성적 발언 이라고 몰아붙었다. 안대변인은 박청장을 부산복집사건당시 해임됐어야할 정치경찰 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
이정무(李廷武)총무도 학생들이 과격해서는 안되지만 경찰의 총기사용도 신중을 기해야한다 며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여야는 결국 한총련사태가 정치적으로 이용되어서는 안된다는 데에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정치적인 이해관계에 따라 입장을 달리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