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渭川공단, 超黨的으로 나서야

자민련이 지역 최대 현안인 위천(渭川)국가공단 지정 문제에 적극 개입키로 하고 9월 정기국회에 공단지정 결의안 을 제출하는등 당력(黨力)을 기울여 대처키로 했다한다.

자민련의 이러한 자세는 대구.부산 양측이 자기 주장만 되풀이할뿐 해결의 실마리조차 보이지 않은채 감정 대립양상마저 띠고 있는 현시점에서 객관적 논의가 가능한 국회로 문제를 끌어들인다는 측면에서 때 늦으나마 환영할만한 일이라 하겠다.

여당인 신한국당내 사정으로 미루어 대구.경북 의원의 위상이 부산권에 비해밀린다고 보아야한다.

때문에 그동안 지역 출신의 몇몇 여당의원들이 공단 지정을 위해 진력 했다하더라도 그 활동은 한정될 수 밖에 없었고 소위 PK의원들의 눈치를 살피는 수동적인 것이 될 수 밖에 없었다는 느낌이다. 이런 터수에 자민련이 대구 출신의원을 중심으로 공단 지정을 위해 당 차원에서 발벗고 나서고 국민회의쪽도정책공조로 가세할 전망이라니 그동안 자치단체끼리 겉돌던 해결의 가닥이 잡힐 것으로 기대 되는바 적지 않다하겠다.

대구에서 불과 40㎞떨어진 구미 4차공단은 받아들이면서도 위천 공단에 대해서만은 지나치게 민감한 반응을보이고 있는 부산.경남권역의 시민 정서로 미루어현재와 같은 지자체(地自體)차원의 대화는 감정만 격화시킬뿐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논의 자체가 불가능한 형편이었다.

신한국당으로서도 공단지정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대구 정서와 드세게 반발하는부산의 항변 사이에서 내년의 대선(大選)을 의식, 표 밭을 가꾸는 고역을 치러야할 처지이다. 그런만큼 공단 지정을 두고 신한국당이 두 지역 주민과 눈치놀음을 하며 오락가락 해온 고달픈 입장을 모르는바 아니지만 문제의 본질은 한가지도 해결되지 않은채 점차 지역 감정 대립으로까지 악화되는 조짐마저 보이고 있는 요즘이다.

이런 계제에 자민련쪽이 위천공단 문제를 국가적인 쟁점으로 부각, 여의도의 단상으로 끌어들인다면 신한국당으로서도 십분 다행스런 일로 받아들일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우리는 물론 위천공단 지정 같은 지역현안이 굳이 국회에서 해결되기보다 지자체에서 자율적으로 해결되는게 바람직하다는 측면도 있음을 이해한다.

그러나 국가의 장기개발 계획의 수립과 예산배정및 집행 모두를 중앙정부에서장악하고 있는 우리 현실에서 국회의원이 지역대표로서의 역할을 등한시 해서는 안된다는 점을 다시한번 강조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공단 지정 문제만은 여야를 떠나 초당적으로 매듭지을 것을 지역 출신 의원 모두에게 거듭 당부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