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회 建交委 대구시 국감, 夏榮兌씨 증인채택

"초창기 渭川좌절과정 들어보자"

오는 30일 국회 건설교통위의 대구시청 국정감사에서는 위천문제와 관련, 하영태(夏榮兌)씨가 증인으로 채택됐다. 하씨는 89년 위천단지의 지방공단 지정신청 당시 달성군상공회의소 회장으로유치위원회의 위원장을 맡고 있었다.

물론 하씨 증인채택에는 대구지역 의원들의 입김이 작용했다. 대표의원은 자민련의 이의익(李義翊)의원이다. 이의원은 지금까지의 경과와 단지 추진이 좌절된 이유 그리고 초창기부터의 상황을들어봐야 할 것 같아서 채택하게 된 것 이라고 했다.

의원들은 먼저 위천지역을 선정하게 된 이유가 하씨 개인의 이해와 관련이 있는지와 섬유업종이선정된 이유를 따질 예정이다. 하씨측은 이에대해 89년 10월 추진위를 발족한 이후 당시 저습지로 농사가 시원치 않던 지역이라 위천으로 하자는 의견이 다수였기 때문이지 땅투기등 갖가지 루머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염색공단으로 정한 것은 위천단지의 출발점이 산재된 염색공장들을집단화시켜 90년부터 달라진 환경기준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이었다는 설명이다. 하씨는 지금도당시 염색공장들을 집단화했으면 수질은 분명히 개선됐을 것 이라고 강조한다.의원들은 또 당시 신청업체들이 수억원의 돈을 갹출했으나 사용처는 미지수라는 의문을 품고 있다.

하씨는 당시 2백63개업체로 부터 1백만원씩 거둬 67개월간 활동하면서 인건비 업무추진비 인쇄비 통신비 사무실임대료 등으로 사용했다 고 밝혔다. 증빙장부도 제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거물상대의 로비는 없었다는 것이 하씨측의 주장이다. 다만 달성이 지역구였던 당시 민자당의 고(故)구자춘(具滋春)의원의 도움은 있었다고 한다.

다음 문제는 염색공단 추진이 무산되고 추진위 활동이 지지부진하게 된 원인이다. 이에 대한 질의 답변이 하씨를 상대로 한 시간 가운데 가장 핵심이다. 바로 부산쪽의 반대발생 경위에 대한대목이기 때문이다. 하씨측은 당시 염색공단의 집단화를 통해 강화된 환경기준에 맞출 수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이 때 뜻하지 않게 부산쪽의 반대에 봉착하게 된다. 그 경위에 대해서는 하씨는별 얘기가 없다.

그러나 의원들은 이 과정에서 대구지역 염색업계 원로와 비산공단 입주업체들의 극렬한 반대활동이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당시 이들이 중앙부처는 물론 부산쪽에 로비활동을 벌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추진위 인사들은 결국 부산의 반대가 터져 나오자 긍정적이던 정부 측도 양쪽의 협의를 통한 합의도출을 종용한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때문에 염색업체 부지를 줄여 8만9천평으로 했음에도 당시 환경처는 반대여론을 의식, 공단지정을 거부했고 대선을 거쳐 신정부 출범 이후 위천국가산업단지 문제는 유야무야됐다는 것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