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 진입 문턱에서 경제난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요즘 생활체육 진흥은 새정부가 가장관심을 두어야할 체육 및 국가정책의 한 부분이 됐다.
경제불안으로 인한 인간성 상실, 삶의 질에 대한 높아진 욕구, 엘리트 스포츠의 침체, 민간자율의 체육활동 확대 등 최근의 사회 전반적인 문제들을 한번에 해결해줄 수 있는 것이 생활체육이기 때문이다.
생활체육은 엘리트스포츠와 달리 집중적으로 많은 돈을 쓰지 않고도 국민들의 늘어난 여가시간을 잘 활용하도록 도와주며 장차 고사위기에 놓인 엘리트 스포츠를 회생시킬 수 있는대안이기도 하다.
이런 측면에서 새 정부도 1백대 과제안에 생활체육 활성화를 넣어 국민의 스포츠활동을2003년까지 50%수준으로 끌어 올리겠다고 공언하고있다.
그러나 한국의 생활체육은 선진국에 비해 시설과 자금은 물론 정책적인 면에서 너무 열악하다.
지난 95년 현재 국고와 지방비, 국민체육진흥기금에서 생활체육 부분에 배정된 예산은 연간국민 1인당 4백39원에 불과하며 운동장, 체육관, 수영장 등 주요체육시설은 국민 3천67명당1개소 밖에 배정되지 않았다.
반면 독일의 경우 1인당 시설기준을 어린이 놀이터는 1.5㎡, 운동장 3㎡, 체육관 0.4㎡, 야외수영장 0.1㎡, 실내수영장 0.4㎡ 등으로 정해놓고 있으며 스위스는 헌법에 산책로의 설치를보장하고 있어 큰 대조가 된다.
특히 독일은 생활체육재원을 연방정부 10%, 주정부 40%, 지역사회 50% 등으로 책정하고있어 생활체육 재원 마련에 어려움이 많은 한국에 참고가 될 만하다.
정책적인 면에서도 독일은 '골든플랜', 캐나다는 '참여', 오스트리아는 '국민의 체육' 등을마련,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한국에는 뚜렷하게 실시되는 프로그램이 아무 것도 없다.이와함께 생활체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 엘리트스포츠에 대응해 생활체육진흥에주력해온 국민생활체육협의회의 역할이 더욱 커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새정부가 체육관련 행정을 민간에 대폭 이양할 방침이어서 생활체육과 엘리트스포츠가 서로조화를 이뤄 발전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지겠지만 반대로 생활체육이 엘리트 스포츠에 밀려크게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의 소리도 높게 일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