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지난 28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2차 한·러외무장관 회담에서 기피인물로 추방했던 올레그 아브람킨 참사관의 일시 재입국에 긍정적인 입장을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정부 고위당국자는 30일 2차 외무장관 회담 당시 예브게니 프리마코프 러시아외무장관이 아브람킨 참사관의 신변정리를 위한 일시적인 재입국을 요청했고, 박정수외교통상장관은 이를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확인했다.
프리마코프 장관이 회담직후 일부 외신에 "한국이 아브람킨 후임자의 부임 때까지 그의 재입국을 수용했다"고 밝혔을 때 관련 사실을 전면 부인하던 정부가 뒤늦게 이중 일부 사실을확인하고 나선데는 몇가지 배경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먼저 프리마코프 장관이 일방적으로 회담에서 오간 얘기를 언론에 공개, 이번외교분쟁에서러시아가 완승한 것처럼 대내외에 알려짐으로써 한국측 외교당국이 상당히 곤혹스런 처지에빠졌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정부 당국자는 이에 따라 아브람킨 재입국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러시아측에 전달한 것을시인하면서, 러시아측도 5명의 러시아주재 한국정보담당 외교관의 자진철수에 융통성을 보였다는 설명을 곁들였다.
즉 이번 한·러외무장관 회담이 한국측의 '굴욕외교'로 끝난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 실리를챙겼다는 반론인 셈이다.
다음으로는 이번 회담으로 사실상 아브람킨 참사관의 재입국 가능성이 커진 만큼 만일 아브람킨의 재입국이 이뤄질 경우 직면하게 될 비난여론을 비켜가기 위한 '퇴로'일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프리마코프 장관의 발언을 전면 부인하고, "아브람킨이 서울에 올 가능성은 없다"고 되풀이강조한 정부로서는 이런 일련의 부인이 자칫 국민기만행위로 비칠 가능성을 우려하지 않을수 없었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에따라 아브람킨 참사관이 재입국을 한다고 하더라도 기피인물(PNG)로 지목한 사실은 유효하며, 어디까지나 '가사 정리를 위해 인도적 차원에서 일정한 조건하에 단기간 입국하는것'이라는 점을 미리 밝혀둠으로써 파장을 최소화하려 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정부 당국자가 회담후 러시아측의 '자의적인 해석'과 발표에도 불구하고"아브람킨참사관의 재입국문제는 논의조차 되지 않았다"고 부인으로 일관하다가 이틀만에 확인한 데대해 결국 국민의 눈과 귀를 '속였다'는 질책을 면하기는 어려울것으로 보인다.특히 러시아 프리마코프장관의 발표내용을 확인하려는 국내 기자들에게 진실을 공개하지 않음으로써 우리 외교정책과 협상과정에 대한 불신을 초래하고, 마치 관계당국간에 혼선이 있었던 것처럼 비친 책임도 이같은 정부측의 태도때문이라는 지적이 우세하다.
박장관을 수행한 당국자들은 "서울에서 협상내용을 공개하지 말라는 지시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항변하고 있지만, 1,2차 회담을 거치는 과정의 대처방식에는 문제가 있었으며, 앞으로남은 외교현안의 해결과 정보협력문제 협상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우려하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