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눈 건강이상 신호 비문증

'비문증'은 눈 앞에 아무것도 없는데도 마치 날파리 수십마리가 눈 앞에 날아다니는 것 처럼 느껴지는 증상으로 '날파리증'이라고도 한다. 이같은 증상은 눈의 유리체가 흐려졌거나 유리체에 부유물이 생겼을 때 나타나며 정상적인 눈(眼)에서도 퇴행성의 결과로 생길 수 있다.

유리체는 99%가 물로 구성된 겔양상의 액체조직으로 정상 상태에서는 비문증이 없지만 내부의 단백질 성분이 부분적으로 뭉쳐지거나 시신경 유두에서 떨어져 나온 신경조직의 이상 및 유리체 출혈 등이 있을 경우 나타난다.

비문증은 주로 밝은 곳에서 눈이 움직일 때 유리체 이동과 함께 유리체에 붙어있는 혼탁도 움직이고 눈에 들어오는 광선으로 인해 혼탁이 망막에 그림자를 드리우게 돼 나타나므로 안정을 취하면 사라진다.

그 원인은 △신경망막으로부터 후유리체막의 박리 △혈관성 망막질환 △눈속염증 △유리체 액화 및 변성 등이다.

50대 이전에서 비문증은 유리체 자체 이상에서 오는 수가 많으며 근시안에서 높은 빈도를 보인다. 50대 이후에서는 후유리체 박리가 가장 큰 원인이지만 유리체 출혈도 흔히 관찰된다.

증상은 유리체 부유물의 형태 및 특성에 따라 검은 점·먼지·실·머리카락·거미줄·날파리·고리 등의 다양한 모양으로 인식된다.

일반적으로 비문증 자체는 시력장애를 초래하지 않지만 예민한 사람의 경우 자각적으로 큰 고통을 느낄 수 있다.

눈에 병적 이상이 동반되지 않는 경증의 경우는 시간이 흐르면 혼탁 자체가 사라지거나 중심 시야에서 벗어나 저절로 좋아질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비문증은 치료 보다는 심리적인 안정을 취해야 한다.

그러나 혼탁이 크거나 오랫동안 시야 중심에 위치, 생활에 많은 지장이 있을때는 치료를 해야 한다. 비문의 수와 크기가 적고 작다면 야그레이저로 비문을 분쇄하는 시술법이 적용된다. 이 방법은 기술적으로 힘들며 망막손상 등의 위험이 따르므로 주의해야 한다.

혼탁의 크기가 크고 중심 시야를 가려 오랫동안 시력 장애가 나타난다면 부분적인 유리체 절제술로 부유물을 제거해야 한다. 이는 수술에 따른 불편함과 위험성, 경제적인 면이 뒤 따른다.

비문증은 많은 경우 특별한 이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증상이 가벼우므로 우려하지 않아도 되지만 일단 발병하면 정밀검사로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좋다. (도움말:계명대동산의료원 안과 김광수 교수·053-250-7706)

〈黃載盛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