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비리사건과 관련된 이른바 '리스트'에 정치인, 고위 공직자 등 유명인사들이 떨고 있다.
특히 최근 제2사정설이 나도는 가운데 사정기관이 여·야를 가리지 않고 비리가 드러날 경우 '법대로 처리'한다는 의지를 보이면서 관련설이 나도는 인사들이 리스트 공개에 긴장하고 있다.
탈옥수 신창원 검거 이후 도피중인 그에게 2억9천만원을 뺏긴 "서울 강남의 거부(巨富)가 누구냐"는데 관심이 쏠리면서 이른바 '신창원 리스트'가 태풍의 핵으로 떠오르고 있다.
거액을 털린 이 인사는 신에게 "신분을 숨겨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져 신원이 밝혀질 경우 '더 큰 피해'를 볼 수 있는 신분으로 짐작되고 있어 수사가 진행될 경우 돈의 출처 등 엄청난 파장이 예고된다.
또 서이석 전경기은행장으로부터 퇴출을 막아달라는 부탁과 함께 거액을 받은 임창열(林昌烈)경기지사 부부가 구속된 데 이어 최기선(崔箕善)인천시장과 국민회의 서정화(徐廷華)의원 등도 로비설에 휘말리고 있는 등 '서이석 리스트'가 정·관가를 긴장시키고 있다.
이 같은 '리스트 신드롬'은 신동아그룹 최순영(崔淳永)회장과 부인 이형자씨로부터 구명 로비를 받은 것으로 거명된 이른바 '최순영·이형자 리스트'가 옷·그림 로비사건, '병무비리 리스트', 유종근(柳鍾根)전북지사집 절도범 김강용으로 부터 피해를 당한 고위 공직자들의 리스트로 이어지면서 끊임없이 고관·정치인들을 괴롭혀 왔다.
현 정부 출범을 전후해 한보, 청구, 기아, 경성 리스트 및 이른바 '살생부'에 거론된 정치인·고위 공직자 등 유명 인사 중 일부가 사법처리 되기도 했으나 최근의 제2사정은 강도가 더할 것으로 보여 정·관가는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徐泳瓘 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