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학들, 교수 연구용역 비리차단 고심

대학의 연구프로젝트 비리가 검찰 수사결과 사실로 드러남에 따라 지역 대학가에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교수 연구과제 운용의 효율성과 투명성이 확보돼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또 이를 위해서는 연구용역의 공개경쟁 계약과 연구 결과물에 대한 사후 심의평가 등 제도적인 개선방안 도입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대학별로 연구비 관리체계에 대한 개선작업도 뒤따르고 있다.

경북대는 학교 명의 계좌로 입금되는 연구비를 해당 단과대학이나 연구소로 지급, 본부의 연구비 관리규정에 따라 일정액을 할당하는 분산형 중앙관리체제를 마련 시행함으로써 교수 개개인의 입김을 최대한 제한하고 있다.

영남대도 매월 일정액의 연구보조원 수당을 경리과에서 개인계좌에 입금하며 연구기자재도 연구책임자의 요청에 따라 구매과에서 구매하고 대금은 경리과에서 남품업자 계좌로 입금하는 연구비 중앙관리체제를 도입했다.

이밖에 주택업체가 아파트 시공전에 실시하는 교통 및 환경영향 평가 연구용역의 경우도 시.도의 건축심의위원회 자문위원 교수에게 편중돼 있어 연구과제 수행과정과 연구결과가 형식적이라는 비판이 일자 대학별로 연구용역 교수에 대한 객관적인 자격심사와 경쟁입찰 방식 도입 등 개선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지역대의 한 관계자는 "교수사회의 실추된 명예회복을 위해서는 최근 재정경제부 등 정부기관의 연구과제 입찰공고와 같이 연구용역 수주과정의 투명성 확보가 전제돼야 한다"며 "연구비가 당초의 목적대로 효율적으로 집행되었는지에 대한 감사기능의 강화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趙珦來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