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大邱방문 관계자 만나죽을자와 죽일자=양민들이 삽을 들고 죽음의 구덩이를 파기 직전의 초조한 모습. 오른쪽 군인은 다소 여유있는 표정을 짓고 있다.
공포의 순간=살해 직전 군인들이 도열하고 있다.
비극의 銃聲=무참한 살해 현장.
집단매장=살해 후 시신을 매장하고 있다.
(위로부터 사진설명)
한국전 직후 영호남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자행됐던 양민 학살사건에 대한 진상규명운동이 국내외 민간 차원에서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지난해 10월 미국 국립문서보존소에서 한국전 집단학살 관련 비밀문건을 발굴, 최초로 공개한 이도영 박사(54)는 19일 본사를 방문해 한국전 직후 사상범 및 예비검속 구금자들에 대한 집단학살과 관련, 한국-미국 정부를 상대로 명예회복 및 피해보상 청구 소송을 제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박사는 자신이 발굴한 미 비밀문건을 근거로 "집단학살 사건은 1950년 당시 육군본부 정보국과 내무부 치안국이 계획하고 미국 정부가 묵인·방조한 가운데 저질러진 명백한 전쟁범죄"라며 "전범엔 시효를 두지않는 국제법에 따라 가해자들을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박사는 또 그가 이사로 있는 '제주도 백조일손 유족회' 산하에 '대정부 소송 특별위원회'를 구성, 소송을 준비하고 있으며 한국전 직후 양민학살은 전국적으로 자행된 사건인 만큼 영호남 지역의 유족들과 연대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이박사는 한국전 직후 집단학살사건을 조사한 바 있는 1960년 당시 경북 피학살자유족회 관계자 및 유족인 이복영씨와 이광달씨 등을 조만간 만나 향후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한편 국제사면위원회 라지브(인도) 라티파(영국) 한국조사담당관은 다음달 15~16일 이틀간 대구를 방문, 양민학살사건을 비롯한 각종 인권문제를 조사하는 한편 이도영 박사 등 관계자와 면담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 이 박사는 "사면위 관계자들에게 피해자 유족 면담과 함께 관계 자료를 제시, 양민학살 사실을 입증하고 이를 국제여론화 해 유엔 인권위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했다.
金炳九·李宗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