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파주시에서 발생한 가축전염병인 '의사(疑似) 구제역'파문이 갈수록 확산돼 우리나라 축산농가에 큰 타격을 줄 것으로 우려된다. 관련업계인 사료.도축 등 업계도 비상이 걸렸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의 검사결과 '구제역'으로 판명날경우 소.돼지.사슴.양.멧돼지 등 발굽이 둘로 나누어진 네발가축(우제류)은 수출이 전면 중단되고 국내의 소비위축도 불을 보듯 뻔해 국내경제전반에 걸친 타격도 예상된다.
대만은 지난 28일 한국산 육류의 수입을 보류해 국내산 돼지고기 4억1천달러(4천5백억원) 수출계획이 차질을 빚을 공산이 크다. 수입국인 일본도 27일 국내산 돼지고기 등 모든 한국산 육류수입통관을 잠정적으로 전면보류한다고 통보해와 '구제역'에 대한 대비가 시급한 상태에 이르렀다.
구제역은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치유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발병국가는 국제규범에 따라 완전퇴치 시점까지 육류수출을 금지해야 한다.
정부는 이에따라 긴급 방역대책 등을 마련하고는 있다. 일단 '의사구제역'으로 추정하고 '비상대책본부'를 긴급편성해 전염차단을 위한 가축이동금지 및 사료차와 우유차 등의 통한제한 등의 조치를 취했다.
경북.대구지역도 다음달 2일까지 우제류에 대한 예방 백신접종을 모두 끝낼 계획이고 당국은 이번 괴질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최악의 상황까지 감안해 대처방안을강구해야 한다. 이번 질병 경우 지난 20일 파주시의 한 농가 젖소에서 처음 발병 했으나 당국에 신고된 것은 나흘뒤여서 체계적 방역망이 구멍이 뚫렸다. 이런 일들이 되풀이 하지 않도록 제도상의 점검도 있어야 한다. 발병즉시 신고만 했어도 초등 대응이 보다 빨랐을 것이고 그 파장도 최소화 할수 있었다고 본다.
'구제역'피해 최소화를 위한 국제적 협력방안도 세워야 한다. 국제규정상 발병하면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접종중지후 6개월간 재발되지 않아야 수출을 재개할수 있다고 돼있다. 그러나 수입국이 인정하지 않으면 수출재개 보장이 없다는 사실이다. 방역대책등도 국제적인 인정이 필요해 외교적인 노력에도 힘을 기울여야 한다.
이미 피해를 본 축산농가나 앞으로 있을 피해에 대한 대책도 아울러 세울일이다. 정부는 3천억원의 축산장려기금을 긴급지원해 일본 수출용 돼지 고기 전량을 매수하겠다고 수습에 나섰다. 이런 수습책도 일과성에 그쳐서는 안된다. 이번 사태가 장기화 조짐이고 보면 사료를 공급하는 사료업계, 육가공업체, 유류가공업체의 피해까지도 정부는 지원대상에 넣어야 한다. 이미 지난 29일 증시에서 관련 업체들의 주식들이 일제히 하락한 사태를 유념 할 일이다.
범정부 차원의 대치를 기대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