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20일)은 스무번째로 맞는 장애인의 날, 전국 곳곳에서 이날을 기념해 행사를 가진다. 일년중 단 하루, 반짝해 장애인들에게 관심을 가지는 시늉을 낼 뿐 무관심으로 스쳐가는 것이 일반인들의 일상의 생활이 아닌가 싶다. 그만큼 장애인은 차별대우로 인한 고통으로 살아야 하고 우리나라의 장애인에 대한 복지수준은 기초단계라는 증명과 다름없다.
장애인의 생활현실은 곳곳에 '장애'가 쳐진 상황이다. 나들이 길의 도로시설은 이들에 대한 배려의 흔적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편의시설은 정상인 위주로 설치돼 있어 평상생활을 영위할 엄두조차 못내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실이지만 고쳐질 기미는 커녕 분위기조성조차 없는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다. 철도역, 병의원, 버스터미널 등지도 시늉내고 있을뿐 생색용이다.
차별은 보험에까지 널려있다. 가입거절이 많고 보험료도 장애인에게는 비싼 것이 지금의 사정이다. 보험회사들이 보험종류에 따라 장애인의 보험가입을 허용하지 않고 보험가입을 허용해도 보험료를 일반인보다 높게 받고 있다. 따라서 질병에 걸리거나 사고를 당해도 보장을 받지 못해 발을 동동 굴리는 안타까운 실정은 장애인들이 스스로 찾는 살길은 엄두도 못낸다는 이야기다.
중요한 것은 현 장애인 배려를 생각하는 사회전체의 분위기 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동정의 눈으로 볼 것이 아니라 스스로 일어날 수 있도록, 스스로 살아 갈 수 있도록 길을 열어 주어야할 것이다. 대부분의 행정기관과 기업들이 법에서 정한 '2%의 장애인 의무고용'을 외면할 일이 아니다. 대학마저 입시에서 장애인을 이유로 불합격 처리하는 지경이고 보면 사회전반에 깔린 인식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을 버려야 한다.
시급한 것은 장애인의 취업난 해결이다. '의무고용 2%'을 넘어서는 기업주들의 관심이 있어야 한다. 전국의 등록된 1백여만명의 장애인중 80%가 실업상태여서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못하고 있는 지경이다. 대부분의 사업장들이 장애인 시설 부담 등을 이유로 꺼리고 있다면 정부차원에서 지원, 장애인들의 취업을 늘려야 할 일이다.
우리 사회의 책임과 함께 정부의 굳건한 의지가 있어야 '장애인 스스로 살길 찾기'가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단순히 시혜차원의 복지는 곤란하다. 법에서 정한 상시근로자 3백명이상 사업장 의무고용이나 공공기관과 종합병원 등 공공이용시설에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등을 이행하도록 해야 한다. 예산타령만으로는 백년이 가도 해결이 안된다.
우리의 불편한 이웃을 뜨거운 가슴으로 끌어안는 삶에대한 또다른 가치관 형성도 필요한때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