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지역 곳곳의 알짜배기 땅 200여만평이 대학시설구역으로 묶이는 바람에 행정당국이 추진중인 주거·체육·문화·환경 등 개발사업이 발목 잡혀 도시성장의 걸림돌이되고 있다.
경산시에는 영남대(경산시 대동 214의1) 79만3천평, 대구대(진량읍 내리 15) 75만7천평 등 모두 12개 대학이 총 215만평(710만9천㎡)을 학교시설구역으로 차지하고 있다.
이는 경산시 전체 도시계획구역 면적 2천46만8천평(6천766만3천㎡)의 10.5%에 이르는데다 교통요지 등 개발이 쉬운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경산시내에 위치한 영남대는 경산시와 지금까지 다목적 실내체육관을 비롯, 문화예술의 전당 건립 등 3~4가지 숙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몇년째 원점을 맴돌고 있다.
다목적 실내체육관의 경우 경산시는 지난 97년7월 영남대로부터 경산시 계양동 224일대 부지 1만6천평을 제공받아 사업비 300억원으로 8천석 규모로 건립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영남대 측은 1년만인 99년8월 합의사항에 대해 △2003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대회 불투명 △IMF와 학생등록금 동결 등으로 학교재정난 등의 이유를 내세워 현재까지 부지제공을 보류한 상태다.
문화예술의 전당도 지난 97년 사업비 500억원을 들여 영남대 기숙사 인접부지 1만평에 1천200석 규모의 공연장과 전시실 등을 갖추기로 했으나 부지사용 협의 등이 늦어져 사업자체가 백지화 위기에 놓여 있다.
경산시 관계자는"대학들로 인해 쓰레기 처리비 등 직접비용이 연간 9억여원, 주거·교통·환경시설 확대 등의 간접비용이 3천여억원에 달할 정도"라면서"대학들이 정작 각종 지역개발사업에 따른 부지제공 등의 협조에는 인색하다"고 비난했다.경산·金成祐기자 swki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