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이산가족 상봉단의 남측 가족 생사확인 작업이 급진전을 보이고 있다. 16일 북측 상봉단 200명의 명단이 공개된지 단 하루만에 158명의 가족 생사와 소재가 확인됨으로써 사실상 후보자의 생사확인 작업이 끝났다. 정부도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 작업이 이처럼 진전을 보이자 의외라는 반응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날 밤 "16일 오후 명단을 언론에 공개한 후 하루만인 17일 오후 8시 158명에 대한 남측 가족의 생사확인 작업이 이뤄졌다"며 "후보자 대부분의 생사 및 소재확인 작업이 끝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같은 열기는 북측 명단의 언론공개후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로 쏟아진 관심도를 봐도 알 수 있다. 16일 이후 통일부와 한적 직원들은 이산가족 생사확인을 위해 쏟아지는 문의전화로 숨돌릴 틈이 없었다. 때마침 연휴가 겹치는 바람에 출근직원들도 턱없이 부족해 이산가족 생사확인작업에 차질을 빚기도 했다.
북측 상봉단 가족 생사확인 작업이 이처럼 급진전을 보이면서 그동안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온 정부측의 대책마련도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우선 상봉정례화에 정부측이 더욱 치밀하게 대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남북한은 지난달 30일 적십자회담에서 9월초 비전향 장기수 북송 즉시 이산가족 면회소 설치를 논의하기로 합의했지만 면회소 설치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벌써부터 일각에서 8·15교환방문이 일회성에 그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월북자 가족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우리사회의 시각교정도 시급하다. 실제로 우리측 이산가족 개념에는 그동안 월북자 가족은 거의 배제돼 왔다. 실제로 월북자 가족들의 경우 편향적인 우리사회의 냉대 등을 고려해 전면에 나서기를 꺼려 왔다. 이번 북측 명단에 대한 소재확인 작업에 일부 가족들이 생사확인을 않고 있는 것이 이를 방증한다.
그러나 이같은 폭발적인 관심도에도 불구하고 북측 상봉단의 면면이 대부분 월북자들로 선정됐다는 점에서 우려를 표시하는 사람들도 있다. 북측에서 보내온 명단이 대부분 체제우월성을 강조할 수 있는 면면들이라는 것이다. 자칫 이번 8·15상봉이 북의 체제 선전장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그래서 제기되고 있다.
李相坤기자 lees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