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동아건설 퇴출 원인은

55년 역사의 대형 건설업체인 동아건설이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중단으로 사실상의 퇴출위기에 몰렸다.

80년대 리비아 대수로 공사를 수주하면서 해외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건설업체의 하나로 성가를 높이며 급성장한 동아건설이 몰락의 길을 걷게 된 직접적인 원인은 무리한 사업확장에 따른 과다차입 탓으로 볼 수 있다.

리비아 대수로 공사 등 해외 플랜트 공사에 주력해온 동아건설은 대수로 공사대금을 기반으로 90년대부터 민간 건축공사와 아파트 건설분야로 사업을 확대하다 97년말 예기치 않던 국제통화기금(IMF) 위기를 맞으면서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다.동아건설은 IMF 구제금융 이후 극심한 국내 건설경기 침체와 그에 따른 자금난을 이기지 못하고 98년 9월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 1호기업으로 지정되면서 몰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특히 과다한 용지 매입과 재건축 아파트 사업 대여금, 부동산 경기 침체로 인한 아파트 미수금 증가 등 현금 유동성 위기를 겪으면서 지난 98년 상반기 금융권으로부터 3차례에 걸쳐 9천600억원의 협조 융자를 받았음에도 자금난을 극복하지 못하고결국 워크아웃에 들어가게 된 것이다.

워크아웃에 돌입하자마자 오너였던 최원석 전회장이 퇴진하고 고병우 전 회장이 사령탑을 맡아 기업 회생에 주력했으나 끝내 채권단의 전폭적인 지원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워크아웃 중단의 이유는 여러가지다. 그 가운데 가장 큰 이유는 42개 기관으로 이뤄진 채권단이 입장 차이를 조율하지 못한 채 워크아웃을 결정한데다 그 이후 동아쪽에서도 내부 분열로 채권단의 신뢰를 끌어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주채권 은행인 서울은행은 동아건설에 대한 담보를 많이 확보해 동아건설에 대한 워크아웃이 중단되더라도 채권 회수에 유리한 입장이었던 반면 외환은행은 무담보 채권이 많아 워크아웃을 지속할 것을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채권단 내부의 의견 조율이 힘들었고 이런 채권단 내부 사정은 동아건설에 대한 과감한 지원을 원천적으로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됐다.

작년 2조3천200억원의 매출을 올린 동아건설에 대한 채권단의 신규 지원규모는 고작 기존 대출금 802억원을 출자전환한데 불과했다.

워크아웃 결정 당시 숨겨져 있던 부실 자산규모도 워크아웃이 진행되면서 2조원대로 불어났고 여기에 국내에서 생소한 워크아웃을 처음 적용하는데서 비롯된 시행착오도 동아건설에는 불리하게 작용한 것 같다.

당초 동아건설의 회생을 위해 정부가 9천594억원에 사주기로 했던 김포매립지도 부처간 이견 등으로 6천355억원 밖에 못받아 동아의 숨통을 조이는 결과를 초래했고 당초 계획했던 대한통운 매각도 기회를 놓쳤다.

워크아웃 기업으로 선정해놓고도 회생을 위한 과감한 지원의지를 보이지 않았던 채권단에도 책임은 있지만 워크아웃 중단으로까지 사태가 번진데는 동아건설 내부의 결집력 부족탓도 크다.

고병우 전 회장의 정치자금 제공 파문이 확산되면서 올해 상반기 내내 계속됐던 동아 내분은 지난 7월 최동섭 회장의 선임으로 정상을 찾긴 했으나 결과적으로 채권단의 불신을 낳아 워크아웃 중단으로까지 이어지는 원인이 됐다.

동아는 지난 97년말 21개에 이르렀던 계열사중 13개사를 매각하거나 청산, 합병했고 인천 매립지와 부동산, 유가증권 등 자산을 매각했고 97년말 6천500여명이었던 직원수를 현재 4천여명으로 감축했으나 결국 자구 노력이 제 성과를 내지 못하게 된 셈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