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鄭펀드 名單 조속히 공개하라

'정현준펀드'에 대한 검찰수사가 너무 느려 그 후유증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이른바 '정현준펀드'라는게 이번 수사과정에서도 그 실체가 서서히 드러나고 있듯이 정·관계 등 유력인사 600여명이 무손실(無損失) 담보로 투자한 700억원을 가지고 결국 '기업사냥'에 나서는 등 무모한 재벌행세를 흉내내려다 실패로 끝난 '벤처기업의 타락상'을 보여준 전형적 케이스이다. 이같은 행태를 국민들은 부도덕한 벤처업계와 정·관계의 유착에 의해 발생한 불법대출사건으로 규정하고 있다.따라서 그 펀드에 가입한 사람들은 결과적으로 부도덕한 인물이 된 셈이다. 주식시장이 춤을 추는 판에 투자하면 무조건 돈을 벌게 된다는 땅짚고 헤엄치는 식의 논리가 도대체 통할 수 있는가. 더욱이 정·관계 인사들이 이 펀드에 가입했다는 그 자체가 벌써 그들이 갖고 있는 유무형의 '힘'을 펀드개설자에게 빌려준 셈이고 펀드운용자들은 그걸 방패로 온갖 비리를 저지른 것이다. 이 실례는 이미 자살한 전 금감원 장래찬 국장의 행각에서 드러난 바 있다. 장 전 국장은 이 펀드에 1억원을 가입했을 뿐 아니라 그들을 이용해 주식투자로 6억원을 벌고 또 손해본건 다시 보전받았다는 사실이 이미 밝혀진 바 있다. 그는 이같은 이득을 보는 대신 동방·대신금고의 불법대출을 사실상 눈감아준 것이나 다름없었잖았는가. 이런 관점에서 이 펀드에 가입한 정·관계 등 유력인사들의 명단은 조속히 공개돼야 한다는게 우리의 생각이다. 시중에는 약 30여명의 이름만 대면 알만한 유력인사들의 실명이 설왕설래되고 있고 이로 인한 각종 의혹들이 일파만파로 커져가고 있는게 현실이다.

벌써 정치권에서는 그동안 루머로 나돌던 K씨의 실명을 야당의원이 상임위원회에서 거론하면서 여·야의 극한대립양상으로 치닫고 있지 않은가. 정치권에선 감정싸움 정도로 가고있지만 이를 본 국민들 입장에선 '결국 그말이 맞구나'하는 형태로 굳어지면서 억측은 꼬리를 물게돼 있는게 소문의 속성이다. 그러나 검찰은 대가성이 입증돼야만 명단을 공개할 수 있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데 그것도 전혀 수긍이 가지않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지금 돌아가는 형국이 예사롭지 않기 때문에 검찰은 가급적 빠른 시일안에 이를 공개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한다그래야만 더이상의 악성루머을 막고 그에 따른 후유증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야당에선 검찰이 명단을 확보해 놓고 그 폭발성을 우려, 공개를 안한다는 얘기까지 거론되는 계제임을 검찰은 유념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