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대건설 자구안 표류

현대건설 자구안이 막바지에 표류하고 있다.

정몽헌(MH) 현대아산 이사회 회장이 6일 '비장의 카드'로 꺼낸 사재 전액출자를 갑자기 번복하고 나선 것이다. 오너의 의지표명 차원에서 보유주식을 전량 매각하겠다던 발표가 반나절만에 '검토중'으로 톤다운 됐다.

또 현대가 상선 보유 중공업.전자 주식을 매각, 이중 일부를 건설 유동성에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밝혔으나 정작 주체인 상선측은 "계획이 없다"고 부인하고 나섰다. 외견상 건설 유동성 지원을 둘러싸고 현대 계열사간에 혼란이 빚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MH 사재출자 왜 번복했을까="당초 발표과정에서 와전됐다"는 현대측의 해명이지만 경위가 석연치 않다는게 현대 주변의 시각이다. 오너의 사재출자라는 민감한 발표내용이 뒤바뀐 것을 단순히 '실수'로 돌리기는 어렵고 또다른 속사정이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현대주변에서는 우선 정부가 현대와의 협상과정에서 MH의 사재출자 방안을 골자로 한 자구안에 '비토'를 놓은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사재출자는 '기본'이고 그외에 즉각 유동화가 가능한 추가 자구안을 들고오라는 주문이 내려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일부에서는 현대가 정부의 고강도 압박을 일시적으로 면하기 위해 MH의 사재출자로 국면전환을 기도했으나 예상만큼 정부와 시장의 반응이 좋아지지 않자 꼬리를 내린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그러나 현대측은 여전히 '검토중'이라는 단서를 달고 있다. 매각시기와 규모를 확정짓지는 못했지만 전량 매각은 분명히 검토대상에 들어가있다는게 현대의 설명이다.

◆상선 보유 주식 매각의 노림수는=사재출자를 갈음한 현대의 카드는 상선의 중공업.전자 지분 매각. 그룹측은 '검토중'이라고 밝히고 있으나 상선측은 김충식 사장명의로 "계획이 없다"고 부인, 실현가능성을 의심받고 있는 자구안이다. 그러나 그룹쪽 분위기로 볼 때 윗선에서 실제 논의가 오간 내용이라는 관측이 높다. 다만 이사회 결의를 요하는 사항이라는 점에서 상선측이 부인했을 가능성이 있다는게 현대주변의 시각이다. 특히 이는 규모가 5천514억원으로 이중 일부만 지원되더라도 건설 유동성에 결정적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열분리까지 가속화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수 있는 '카드'라는 점에서 정부와 채권단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은 대목이다.

상선이 자신이 최대주주로 있는 중공업(12.46%)과 전자(9.25%) 지분을 매각할 경우 중공업과 전자의 계열분리는 늦어도 내년초까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따라 현대 계열사는 내년부터 자동차, 중공업, 전자, 상선, 건설, 금융 및 서비스등 6개 업종으로 재편, 사실상 그룹해체가 완료될 것으로 분석된다.

◆또다른 추가 자구안은 있나=사재출자와 상선의 중공업.전자 지분 매각 방안외에 현대는 가히 '메가톤급'의 추가 자구안을 마련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시한부 회생'을 넘어 구조적 부실 해소에 초점을 맞춘 그룹차원의 근본대책을 수립중이라는게 현대의 설명이다.

이에따라 계열사 매각방안이 유력한 대안으로 현대주변에서 떠오르고 있다. 현대그룹 계열사는 모두 24개사이며 주력계열사는 건설을 제외하고 전자.중공업.상선.금융(증권, 투신증권, 투신운용). 따라서 자산가치가 높은 비주력계열사를 매각하거나 주력계열사의 주요 사업부문을 정리할 경우 현대건설 유동성 확보에 숨통이 틜 것이라는 논리다. 다만 지분관계 정리 등으로 시일이 오래 걸린다는 점에서 단기유동성확보대책으로 계열사 및 친족기업 지원 가능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단 현대아산과 현대석유화학 등 현대건설의 비상장주식과 일부 부동산을 매입하는 형태로 지원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여기에 친족기업이 서산농장을 분할매입하거나 일부 프로젝트를 인수하는 조건으로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또 전현직 임직원들의 모금운동도 유동성 확보에 지원될 것이라고 현대는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