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A투데이 신문은 "이번 선거에선 과거의 상식이 적용되지 않았다"며, 호황이 선거를 좌우하지도 못했고, 재개표에 들어간 플로리다도 더이상 공화당 텃밭이 아니었다고 8일자에서 보도했다. 또 경험많고 지식있는 후보라고 토론에서 효과를 얻는 것도 아니었으며, 이런 예측 초월이 전문가들을 당혹케 했고, 역대 선거에서 진리로 통했던 전통적 사고와 지혜들도 소용 없었다고 열거했다. 그런 뒤 신문은 10가지를 대선 교훈이라며 정리해 제시했다.
(1)경제만으론 안된다=고어가 믿었던 것이 깨어졌다. 한 전문가는 "경제가 너무 오랫동안 좋다 보니 국민들이 그걸 당연시한 것 같다"고 풀이했다.
(2)개인 품성도 중요하다=국민들은 정책 이슈 보다는 개인적 품성에 더 비중을 둔 듯하다. 공화당의 한 컨설턴트는 "부동층이 결정하려 했던 것은 자신들의 거실에 초청하고 싶은 사람이 누구냐였다"고 말했다.
(3)선거는 역시 돈 잔치이다=그러나 한쪽이 수백만 달러를 쓰면 상대방도 그만큼 써 효과는 상쇄되고 지출은 상승효과를 냈다.
(4)전화 위력은 여전했다=인터넷이 주요 통신수단이 됐다. 선거본부는 기자 및 지지자들과 이것으로 통신했다. 5천만 달러의 정치헌금도 인터넷을 통해 모금됐다.그러나 부동층을 설득하는 데는 무력했다. 후보들과 이익단체들이 폭발적으로 사용한 것은 역시 전화였다. 수백만명의 유권자들이 전화에 녹음된 메시지를 받았다(5)TV토론은 조심해야 한다=토론 후 부시는 대통령 직무를 수행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지적인 인물로 평가됐다. 반면 고어는 너무 똑똑한 인물로 비쳐져 반감을 샀다.
(6)사회보장에 신경써라=사회보장은 더이상 미국 정치에서 삼류 이슈가 아니다. 부시의 사회보장세 일부 민영화 방안이 50세 미만 층으로부터 광범한 지지를 얻었다. 베이비 부머들이 10년 뒤 사회보장 기금 파산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7)남녀 지지성향이 다르다=여성들은 고어를 54% 대 43%로 지지한 반면, 남성들은 부시를 52% 대 43%로 선호했다.
(8)러닝메이트 경시말라=두 후보는 자신의 취약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러닝메이트를 지명했다. 새로운 접근이었다.
(9)우리 주라는 고정관념을 버리라=플로리다는 부시의 친동생이 주지사로 있고 공화당 텃밭으로 여겨져 온 주다. 그러나 득표율차는 미미하다. 지역적 차이.성향, 과거 나타났던 투표패턴 등이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미국 정치의 전국민화가 높아지고 있다. 인구 이동 증가와 전국적 매체의 영향력 등이 원인이다.
(10)클린턴 변수가 컸다=고어 진영은 클린턴의 지원유세를 지지기반인 캘리포니아에서만 시켰다. 또 출구조사 결과 투표자 4명 중 1명 이상이 클린턴 때문에 투표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중 부시를 찍은 사람이 절반이었다. 클린턴의 부정적 이미지가 작용한 것이다. (오스틴〈텍사스주〉연합)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