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농산물값 폭락… 農心 '억장'

"수확기 막바지에 접어 들었지만 어느 작목 하나 생산비도 못건질 판이니 농사 지을 맛은 고사하고 어떻게 살지 참담한 생각만 든다"는 오모(56·안동시 녹전면 매정리)씨는 애꿎은 담배만 연신 피워 물었다.

김장배추와 무 값이 폭락 했다. 최근 영양군 석보면 고랭지 채소단지의 배추 산지가격은 300평 1마지기당 70만원선. 지난해 200만원선에 비해 무려 70% 이상 폭락한 것이다.

2주일 전만해도 100만원선은 유지했으나 본격 출하가 시작되면서 대풍작을 이룬 물량이 쏟아져 하루가 다르게 값이 떨어지고 있다. 시장 가격은 김장수요 때문에 포기당 200∼300원 올라 700원선에 거래되고 있으나 산지가격에는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

그나마 매기도 없어 배추가 지천에 널려있다. 폭락세가 지속되자 중간상인들이 아예 자취를 감춰버렸다. 영양군 석보면 옥계리 이모(56)씨의 경우 배추 1천200평을 중간상인과 출하계약을 맺었으나 보름이 지나도록 방치해 두고 있다는 것.

안동시 도산면 원천·단천리와 풍산읍 안교리 배추산지도 사정은 마찬가지. 밑질 것이 뻔해 중간상인들이 발걸음을 완전히 끊는 바람에 판로를 잃은 농민들이 망연자실해 하고 있다.

다급한 농가들이 배추를 경운기로 실어 인근 시장에 나가 직접 소매에 나섰지만 하루 품값도 나오지 않자 상당수 농가들이 수확을 포기, 밭을 갈아 엎는 사태가 속출하고 있다.

중국산때문에 가격파동을 겪었던 마늘값도 김장철 최대 수요기를 맞았으나 여전히 바닥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kg당 한때 3천원까지 거래됐던 의성지역 한지형 마늘값은 최근 1300∼1500원으로 50%이상 폭락한 상태다.

사과값도 형편없다. 22일 안동농산물도매시장 후지종 평균 경락가는 지난해에 비해 25% 정도 하락한 1상자(20kg)당 2만2천원선. 풍작 때문에 출하량이 넘쳐 향후 가격동향은 더욱 비관적이다.

의성과 청송지역산지에는 중간상인들이 어쩌다 한번씩 찾고 있지만 도매시장 경락가에 훨씬 밑도는 상자당 1만4천원 정도를 제시해 거래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배·포도·단감가격도 지난해에 비해 평균 30% 이상 줄줄이 떨어졌다.

안동농민회 하용락(47)씨는 "올해 농산물가격이 줄줄이 폭락한데다 총체적인 불경기로 인한 소비감소와 물꼬 터진 외국산 농·축산물 수입으로 내년 농사는 더욱 어려워 질 것이 예상돼 농민들이 영농의욕을 완전 상실했다"고 낙담했다.

안동·정경구기자 jkgoo@imaeil.com

의성·이희대기자 hdlee@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