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무단 이탈 등 급증

청.장년층을 미래 농업전문인력으로 확보, 유지하기 위해 시행중인 후계농업인 육성사업이 숫자불리기에만 급급한데다 사후관리 미비로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농림부가 올해 계획중인 후계농업인 선정인원은 3천500여명선으로 경북지역엔 723명(창업후계농업인 103명 포함)이 신규로 지정될 계획이다.

지난 81년 농어민후계자육성사업으로 시작된 이 사업으로 지금까지 경북에는 1만9천294명이 후계 농업인으로 선정돼 이중 이주(951명), 무단이탈(326명) 재촌전업(663명)등으로 2천450명의 자격이 취소됐다.

그러나 최근 몇년동안 농산물가격 하락 등으로 영농을 포기, 후계 농업인으로 적을 둔 채 재촌전업 또는 무단이탈한 경우가 급격히 늘어나 제대로 된 실사가 이뤄지면 자격취소대상은 현인원중 30%가 넘을 것이란 분석이다.

그런데도 시.군은 후계농업인 선정사실을 농협에 통보해 융자금을 수령하게 하는 것으로 사실상 관련업무를 끝내고 사후관리는 손을 놓고 있다.

융자금취급기관인 농협도 융자금 이자와 원금상환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실제 경작 여부나 경영상태에는 관심 조차 두지 않고 있다.

이때문에 일부 후계농업인들이 아예 농사일을 놓고 사업계획과 전혀 맞지 않는 유흥주점과 다방, 노래방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동시 농업경영인협회 관계자에 따르면 "이같은 부작용은 전적으로 사후관리 부실에서 비롯되고 있다"며 "후계영농인의 양산보다는 소수정예화해 엄격하게 관리, 실적과 경영성과에 따라 추가 지원하는 개선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정경구기자 jkgoo@imaeil.com

권동순기자 pinoky@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