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일어 났을 때 눈꼽이 심하게 끼고 눈을 뜨기 힘들다''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 같은 이물감이 있고 충혈이 되고 눈물이 난다'.
더위를 피해 수영장을 찾았던 사람들 가운데 이같은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이 많다. 눈병은 눈꼽 이물감 결막부종 안통 눈물 등 여러가지 증상으로 환자를 괴롭힌다. 많은 사람들이 "눈병은 단순히 안약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눈병의 원인인 바이러스를 없애는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2차적인 세균 감염을 막기위해서는 안과 전문의의 치료를 꾸준히 받아야 한다.
◇유행성 각결막염
여름에 크게 유행하는 유행성 결막염은 대개 바이러스가 원인이다. 일년내내 발생하지만 수영장에서 눈의 분비물이나 다른 매개물 등에 의한 직접 또는 간접 접촉에 의해 감염되고 대량 전파될 수 있어 여름철에 특히 유행한다.
주된 증상은 눈꼽이 아주 심하게 끼고, 특히 아침에 일어났을 때 눈을 뜨기 힘들다. 한쪽 눈에서 시작해서 다른쪽 눈으로 옮겨가서 두 눈에 모두 발병하지만 먼저 발병한 눈의 증상이 심하다. 눈물, 충혈, 이물감, 눈의 통증이 나타나고, 발병 후 5~14일 사이에 각막의 상피를 침범해서 눈부심이 나타나기도 한다. 면역이 떨어지는 어린이의 경우에는 고열, 인후통, 설사 등을 동반하기도 한다.
특별한 치료법은 없지만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다른 사람에게 전파를 막는 치료를 해야 한다. 처음 2주간은 얼음물 찜질이나 찬 찜질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고, 눈부심이 심할 때는 선글라스 같은 색안경을 착용하면 도움이 된다. 2차적 세균감염의 방지를 위해 항생제를 사용할 수 있고, 각막상피염에는 스테로이드제제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오히려 병을 오래 끌 수도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를 요한다. 대개 3, 4주가 지나면 후유증 없이 자연치유 되지만 경우에 따라 각막혼탁이 오래 지속되는 수도 있다.
발병 후 첫 2 주간은 전염성이 대단히 강하므로 적어도 2주간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고 손을 자주 씻어 질병의 전파를 막아야 한다. 환자의 가족은 수건, 비누 등을 따로 써야 하고 환자와 직접적인 신체접촉을 피해야 한다. 가능하면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해야 한다.
◇출혈성 결막염
또 다른 여름철 유행성 눈병으로 아폴로 눈병으로 알려진 급성출혈성결막염이 있다. 우주선 아폴로11호가 달에 착륙하던 해인 1969년 아프리카 가나에서 폭발적으로 발생해 이같은 이름이 붙여졌다.
결막의 출혈을 동반하는 급성결막염으로 전염력이 매우 높다. 엔테로바이러스 70이라는 바이러스가 주 원인이며 환자의 매개물이나 직접 접촉에 의해 감염된다. 발병 후 24시간 내에 결막에 점모양의 출혈이 생기면서 결막아래 출혈이 나타난다. 대개 1주내에 호전되어 2, 3주내에 완치된다. 역시 특별한 치료법은 없고 2차적 세균감염을 예방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치료의 목적이다.
◇인두결막열
뚜렷한 여름철 유행성 눈병은 아니지만 소아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결막염으로 인두결막열이 있다. 고열, 인후통을 동반하고 아데노바이러스 3형이 원인이다. 이 결막염은 염소로 소독한 수영장에서도 옮겨질 수 있다. 특별한 치료는 없고 대개 10일내 자연치유된다.
이종균기자 healthcare@imaeil.com
도움말 김재우교수(사진·대구가톨릭대병원 안과)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