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쌀 수매가 반발 격화

농협중앙회의 쌀 수매가 지침으로 촉발돼 지난 10일 전후 폭발했다가 숙지는 듯하던 '쌀 농심'이 다시 야적 투쟁 등으로 격화되고 있다.

농업경영인회 등이 이미 세금과 대출금 등을 쌀 현물로 갚겠다고 밝힌 데 이어, 농민회 경북연맹은 30일 성명을 발표하고 "오는 11월2일부터 시군별로 동시에 야적 투쟁에 들어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경북연맹은 작년 수확기 수준의 쌀값은 보장하겠다는 정부의 약속과 달리 정부가 농협에 수매를 요구한 400만섬의 쌀값을 두고 여전히 밀고 당기기만 계속되고 있어 투쟁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연맹은 농협 수매가를 최소한 정부 2등품 수매가(벼 40㎏당 5만7천760원)를 보장하고, 논농업 직불금 단가를 50만원 이상으로 높이라고 요구했다.

이에 앞서 의성농민회원 20여명은 30일 오전 다인.단밀농협 RPC(미곡처리장) 앞에 벼 300여가마를 쌓아 놓고 같은 요구를 내걸며 시위를 벌였고, 같은 시간 합천농민회원들은 벼 1㎏을 1천511원으로 계산해 종토세로 현물 납부한다며 고지서와 함께 벼 가마를 군청 현관, 농협 군지부 광장 등에 쌓아 놓고 장기 농성에 들어갔다.

합천 농민회장 한병석(45.가야면 황산리)씨는 "쌀을 못팔아 돈이 없으니 현물로 세금을 낼 수밖에 없다"고 말했고, 김용석(40.가야면 야천리)씨는 "자동이체 납부된 세금을 돌려 달라"고 요구했다.

이런 가운데 쌀값 하락이 계속되자 농협 RPC가 없는 영천 경우 2개 민간 RPC마저 채산성이 없다며 산물벼 수매가 시작된 지난 15일부터 아예 벼 매입 자체를 않고 있다. ㄷ산업 문장환(53) 전무는 "시중 쌀값이 80㎏ 가마당 14만2천~14만5천원으로 떨어져 정부 권장가대로 수매할 경우 가마당 3만원 가까운 적자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민간 RPC들은 종전 연리 3%짜리 정부 지원금을 받아 물벼 수매를 해 왔으며, 올해는 일부 지역에서 그 이자 3%를 군청이 부담키로 제안해도 담보능력 부족을 이유로 내세우며 지원금 수령과 벼 수매를 거부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경북 북부권 행정협의회는 30일 영양군청에서 모임을 갖고 9개 시군청들이 농협 수매분 쌀값 보전 등에 보조를 같이 하기로 결정했다. 이 자리에서 김근수 상주시장은 "400만섬 추가 수매 시기가 12월로 돼 있어 농가들의 싼값 시장 투매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며 "정부가 수매 시기를 11월로 앞당기고 지역별 수매량을 결정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서종일.정광효.이희대.엄재진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