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12일 오후 막후 실무접촉을 통해 제6차 장관급회담의 최대 쟁점인 비상경계태세 문제와 이산가족 상봉 재개 등 현안을 논의하는 등 돌파구를 모색했으나 뚜렷한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남측의 한 회담 관계자는 "비상경계태세와 관련해서는 양측간에 일부 의견접근이 이뤄졌으나 이산가족 문제 등 실무현안 논의가 연계돼 있는 형국이어서 회의 진행 결과에 대한 판단은 여전히 유동적"이라고 말했다.
남북은 이날 제4차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 재개에 관해서는 의견 차이를 줄여나가고 있으나 경제협력추진위원회 제2차회의 개최장소 문제에서는 입장이 엇갈리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남측은 협상진전 여부에 따라 4차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관광 활성화를 위한당국간 회담은 북측의 입장을 수용, 금강산에서 할 수도 있으나 경협추진위 2차회의는 이미 합의된 바에 따라 반드시 서울에서 열려야 한다는 입장. 특히 경협추진위의 서울 개최에 대한 남측의 관철 의지에 따라서는 이 문제가 막판 고비로 제기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이날 밤부터 13일까지 공동보도문 작성을 위한 추가 절충을 벌이고 13일 오전 3차 전체회의를 열어 양측 수석대표 발언을 통해 비상경계태세 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한뒤 공동보도문을 발표하고 회담을 마무리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비상경계태세를 둘러싼 논란이 매듭이 풀리지 않을 경우 공동보도문이채택되지 못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