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혜암스님 30년 공양한 상보살 김광명화 할머니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울기는 왜 울어. 스님이 도솔천 내원궁으로 극락왕생하셨으니 기쁜 일이지...". 지난달 31일 열반한 혜암 스님을 30년 동안 공양주로 시봉했던 103세의 원당암 상보살 김광명화 할머니는 "큰 스님은 본래의 자리로 돌아가신 것 뿐"이라며 스님의 원적을 의연하게 맞았다.

오래전 원당암 달마선원에 기와를 올리는 날 내리는 비를 그치게 할 만큼 혜암 스님은 참으로 도인이었다고 회고한 할머니는 원당암에 처음 자리를 잡았을 때는 워낙 절 살림이 가난해서 고시생 하숙을 치며 스님의 하루 한 끼 공양을 그나마 누룽지로 해결했다고 눈시울을 붉혔다.

"공양이라야 특별한 것이 뭐 있었겠어. 큰스님이 소식(小食)을 하셨기 때문에 끼니 걱정이나 반찬 신경 쓸 일이 별로 없었거든. 무김치와 동치미를 참 좋아 하셨지". 광명화 보살은 스님이 산꽃.들꽃을 좋아해서 원당암과 미소굴 주변에는 늘 꽃이 많았다며 스님이 직접 꽃씨를 뿌리며 "일체 중생이 다 꽃"이라고 하던 말씀을 되새기기도 했다.

혜암 스님에 대한 기억이 너무도 많지만 모두가 인연따라 만들어진 것인데 다시 구차하게 발설하여 구업이 될까 겁난다는 할머니는 "공부하다가 죽는 것이 가장 큰 행복"이라던 스님의 가르침만은 잊을 수 없다고 했다. 그것은 언제 어디서 누구에게나 한결같았던 스님의 주장자였다는 것이다.

혜암 스님의 스승인 인곡 스님이 입적하기 전 10년간을 모신 기이한 인연을 가지기도 한 광명화 보살은 "큰 도인을 시봉한 것이 큰 영광이었다"며 다비장을 향해 조용히 합장을 했다.

조향래기자 swordj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