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을 살면서 분명 잘못인 줄 알면서도 그냥 묻혀 넘어가는 수가 많다. 이런 '적당주의'는 합리적 이성주의에 바탕을 둔 서구보다는 혈연.지연적 정의(情誼)주의에 뿌리를 둔 유교문화권, 그 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는 심각하다.
잘못을 깨닫고 이를 행동으로 옮기는 실천주의자,원칙주의자가 이 땅에 적은 것도 이 때문이다.
자기 패거리는 일단 한수 접어주는 연고주의(緣故主義)는 우물 안에 있을때는 좋을지 모르나 세상 밖으로 나오면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 '참'과 '거짓'에 대한 분별력이 모자라 경쟁에 뒤질 수밖에 없음이다.
▲그래서 우리나라 문화 중에 반드시 버려할 것이 있다면 바로 연고주의다.그러나 알면서도 버리지 못하는 것이 또한 연고주의인데예순을 훌쩍 넘긴 자수성가한 한 기업인이 이를 타파하겠다고 나섰다니 실로 놀라운 일이다.
젊은이도 하기 힘든 행동을 몸소 실천한다는 그의신선한 도전 정신과 참 용기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전 미래산업 사장 정문술씨(64). 그는 바이오 시스템 산업 육성을 위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는300억원의 사재를 내놓았지만 고향(전북)이나 모교.정치권에는 10원짜리 하나 안 준 조금은 별난 사람이다.
▲여우도 죽을때는 자기가 살던 굴쪽으로 머리를 둔다는데 기업인으로 산전수전 다 겪은 정씨가 보통사람의 인지상정(人之常情)에 반기를 든 데는남다른 이유가 있다.
"지역에서 욕을 많이 얻어 먹었지만 고향을 따지고 출신학교를 따져서는 이 나라가 발전할 수 없습니다. 연고주의를 깨는데 작은 모범을보이기 위해 고향과 모교에는 돈을 쓰지 않기로 했습니다.
사업가는 정치권과 거리가 멀수록 좋습니다. 요사이 시끄러운 각종 게이트도 그에 대한 방증이 아니겠습니까"
▲지금 우리나라는 정실 자본주의(crony capitalism)가 온갖 비리의 원흉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패거리주의나 연고주의는 새삼스런 지적이아니다. 이미 97년 외환위기 당시 뉴욕 타임스는 한국의 위기원인을 부패. 패거리주의.자기만족의 영문 두문자를 딴 3C라고 지적했다. 지금 IMF를술기롭게 극복한 것으로 알려진 우리나라에 다시 패거리주의가 문제되는 것은 무엇 때문인가.
알고 있었으나 실천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제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는 행동없이는 실현될 수 없다는 사실을 예순이 넘은 정씨가 행동으로 보여주고 있다.
그의 기업가적 혁신(innovation)정신이 낭중지추(囊中之錐)가 돼 우리의 정치문화, 기업문화에 부디 새로운 좌표로 설정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윤주태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