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류나무 손금 타고 흐르면서 생각한다.
강의 끝은 어딜까.
맨발에 실려서 아픈 눈을 뜨는 봄,
잎들은 줄을 열고 길눈을 뜨고 있다.
하나 피고 둘 피는 빗줄기의 휘파람 속
땅을 차고 땅을 여는 나무들이 올라온다.
말없는 천 번의 갈림길
마음도 길 밖으로 건너뛰는 봄날
산울음 감아지고 굽이굽이 이어지는 산골짜기,
그리움의 물살 속을 첩 첩으로 돌아간다.
짧은 봄볕 타고 돌아와 갇힌 설익은 우리의
사랑이야기, 봄날의 마음 밭에 무너지고 이어진다. 천리 또는 만리 앞의
한길 지나 두길 건너 낯설고 낯익은
미류나무 손금을 타고
-이옥진 '미류나무 손금 타고'
시 읽기는 내용을 좇아가면서 읽는 방식과 이미지를 따라가면서 읽는 방식이 있다. 리얼리즘 시는 내용을 좇고, 모더니즘은 이미지를 따라가는 경우가 많다. 이 시는 앞의 두 범주에 속하지 않으면서도 묘한 서정과 아름다움을 느끼게 해준다.
봄비가 온 후 잎들이 '줄을 열고 길눈을 뜨고 있다'는 표현은 시인의 예민한 촉각을 느끼게 해준다. 봄볕 타고 온 사랑이야기가 무너지고 이어지는 것은 비단 이 시인만의 일은 아닐 것이다. 곧 봄이 미류나무 손금을 타고 온다.
김용락〈시인〉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국감서 뻔뻔한 거짓말 안돼…위증 왜 수사 안하나"
대통령 재판 놓고 대법원장 증인으로…90분 '난장판 국감'
추미애 위원장, 조희대 질의 강행…국힘 의원들 반발
위기의 건설업, 올해 들어 2천569개 건설사 사업 포기
한국 첫 투자처로 포항 선택한 OpenAI, 뒤에 포스코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