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을 살리자-대구의 위상이 갈수록 초라해지고 있다. 과거 '3대 도시'라는 명예를 지키기는커녕 '쇠락하는 도시'라는 증후군이 곳곳에서 나타나 지역민들의 자존심을 여지없이 짓밟고 있다. 특히 날로 확산되는 세계화의 이데올로기 속에서 '지방'의 정체성(正體性) 찾기가 무엇보다 시급한 시점인데도 대구는 왜소화를 거듭하고 있으니 대도시의 미래가 암울하기 그지없다.
대구의 현주소는 그야말로 심각하다. 인구는 2001년말 기준 253만9천587명으로 인천보다 4만명 이상이나 적어 일단 덩치에서 뒤처진다. 경제의 질적 수준을 보면 더욱 기가 막힌다. 재정규모도 당연히 인천에 뒤지고 있으며 1인당 지역총생산(GRDP)은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맨 꼴찌다. 1인당 저축도 5위에 불과하다.
미래의 성장잠재력도 미미하다.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광역자치단체중 국가공단이 하나도 없는 지역이 대구다. 대기업이나 해외기업의 역내 유치는 그림의 떡이다. 지방대학은 거의 허물어져 인재는 죄다 역외로 유출되고 있어 정보화시대에 필요한 기술 인프라조차 구축하지 못하고 있다.
대구가 이처럼 급속도로 추락하는 것은 도시 발전의 동인(動因)이 없기 때문이다. 물론 정부의 지역지원정책이 미흡한 점도 없지않으나 지방화 시대에 무작정 도움만 요청할 수는 없다. 이제는 스스로 경쟁력을 길러야한다. 먼저 지역의 중추산업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설정하여 성장의 원동력을 갖추어야한다.
외부 대기업 유치와 국내외 자본투자를 흡수할 수 있는 경제적 인센티브와 문화적 토양마련도 서둘러야 한다. 지역기업을 대표기업으로 성장시키는데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지역민들에게 미래의 대구를 약속하는 비전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대구가 더 이상 한국의 오지(奧地)로 전락하지 않기위한 지역민들의 주인의식과 분발이 아쉽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장동혁 "尹 면회 신청했지만…구치소, 납득 못 할 이유로 불허"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