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계획된 밀라노프로젝트가 결실을 맺기 위해서는 섬유패션 전문인력 양성이 시급하나 관련 인력에 대한 능력개발 프로그램이 크게 미흡하다.
특히 지역 섬유패션기능대학이 실무전문인력 양성사업에 주력하고 있으나 예산부족 등으로 교원 및 학생의 해외연수, 해외 전문가 초빙교육 등 활동을 거의 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섬유패션기능대학은 학과 및 정원 확대, 패션산업교육원 설치 등을 통해 밀라노프로젝트 인프라 구축사업의주축을 담당해왔다.
또 지난 99년부터 학생 및 교원의 능력개발을 위해 약 50억원의 기금확보를 목표로 한 '산·학·관 공동의대학발전재단' 구성을 추진해왔다.그러나 대구시와 지역 섬유패션단체의 재정난, 학교법인의 예산지원 형평성 등 문제에 부닥쳐 재단 구성이 사실상 무산됐다.
이 때문에 교원 및 학생의 해외연수는 기성회비 중 일부를 활용한 단기연수에 그치고 해외 전문가 초빙교육, 선진국 관련 기관과의 국제교류, 전국단위 섬유·패션 기능경진대회 등은 제대로 벌이지 못하고 있다.
섬유패션기능대학은 올 겨울방학때 처음으로 기성회비의 20% 가량(1천800만원)으로 학생 12명(1인당 150만원)에 대해 해외연수를 실시하고 교원능력개발비 및 기성회비 일부로 연간 3~5명(1인당 200만원)의 교원에 대해 연수를 보낸다는 방침이 고작이다.
섬유업계 관계자는"지역의 유일한 섬유패션 전문인력 양성기구가 예산부족으로 제기능을 못하고 있다"면서"대구시와 업계가 밀라노프로젝트 차원에서 섬유패션 인력의 능력개발사업을 적극 발굴,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병구기자 kbg@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사설] 대구시 신청사 설계, 랜드마크 상징성 문제는 과제로 남아
박정훈 "최민희 딸 결혼식에 과방위 관련 기관·기업 '축의금' 액수 고민…통상 정치인은 화환·축의금 사양"
[단독] 카카오 거짓 논란... 이전 버전 복구 이미 됐다
장동혁 "어제 尹면회, 성경과 기도로 무장…우리도 뭉쳐 싸우자"
한동훈 "尹 돈 필요하면 뇌물받지 왜 마약사업?…백해룡 망상, 李대통령이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