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1∼97년 서울에서만 대기오염에 의한 뇌경색으로 최소 214명에서 최고 428명이 숨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하대 산업의학과 홍윤철(42) 교수팀은 서울대.이화여대.단국대 연구진과 공동으로 '대기오염과 뇌경색 사망률'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지난 91∼97년 서울에서 대기오염으로 인한 뇌경색으로 숨진 사람이 최소 241명에서 최고 428명인 것으로 파악됐다고 10일 밝혔다.
한국과학재단의 연구비 지원으로 이뤄진 이번 연구는 대기오염이 뇌경색 사망률을 높인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한 것이라고 홍 교수팀은 주장했다.
관련 논문은 미국 순환기학회에서 발간하는 '스트로크(Stroke)'지 9월호에 실렸다.홍 교수팀은 대기오염이 뇌경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분진,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오존 등 5가지 물질의 오염 농도를 4등급으로 나눠 뇌경색 사망자의 사망 일자와 비교,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장동 일당 변호인조차 "항소 포기 상상도 못해…김만배 가장 이익"
'이재명은 재림예수인 듯' 출판기념회 "정치-종교, 인간-신의 경계 넘나드는 시도"
날벼락 맞은 특검…황교안·박성재 구속영장 기각
한미 관세·안보 협상 팩트시트 최종 합의..李대통령 직접 발표
민주당 '검사징계법 폐지안' 발의…검사도 '파면' 길 열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