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응시한 수험생들의 가채점 결과, 국어·수학 영역 모두 등급별 커트라인(원점수 기준)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험생들 체감에 어려웠던 수능에다 올해는 의대 모집 인원이 원래대로 축소되고, 출산율이 높았던 '황금돼지띠' 고3 영향으로 수험생 수가 늘어나며 치열한 대입 경쟁이 예상된다.
16일 대구 송원학원이 수험생들의 가채점 결과를 토대로 예상한 국어 영역 1등급 커트라인(원점수)은 85~88점으로 지난해 수능(91~94점)보다 하락했다. 언어와매체는 ▷1등급 85점 ▷2등급 79점 ▷3등급 69점, 화법과작문은 ▷1등급 88점 ▷2등급 81점 ▷3등급 71점으로 예상됐다. 시험이 어려울수록 높아지는 표준점수 기준 1등급 컷도 올해 예상치는 133점으로 작년 수능(131점)보다 2점 높다.
수학 영역 1등급 예상 커트라인은 88~92점으로 작년 수능(88~95점)과 비슷하거나 소폭 하락했다. 확률과통계는 ▷1등급 92점 ▷2등급 82점 ▷3등급 75점으로 커트라인이 형성됐다. 미적분은 ▷1등급 88점 ▷2등급 80점 ▷3등급 72점, 기하는 ▷1등급 89점 ▷2등급 81점 ▷3등급 73점으로 예상됐다. 수학 표준점수 기준 1등급 컷의 올해 예상치는 131점으로 작년 수능(131점)과 같았다.
절대평가로 치러진 영어는 원점수 90점 이상이면 모두 1등급을 받는데 올해 수능 영어는 작년보다 어려운 수준으로 1등급을 받는 학생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등급 비율은 6.2%로 평이한 수준이었다. 송원학원은 올해 영어 1등급 비율을 3~4%대로 예측하고 있다. 이는 영어가 절대평가로 바뀐 2018학년도 이래 1등급 비율이 가장 낮았던 2024학년도 수능(4.71%)과 유사한 수준이다.
이에 따라 주요 대학 합격선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송원학원은 서울대 경영대학 합격선이 국어·수학·탐구 영역 원점수 합산 기준(300점 만점)으로 전년보다 6점 하락한 279점으로 내다봤다. 또 연세대와 고려대 경영대학은 모두 267점으로 전년보다 12점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가채점은 원점수 기준이므로 수험생들은 자신의 위치를 가늠해 보는 참고 자료로만 활용해야 한다. 실제 수능 성적 발표 시 표준점수와 백분위 점수에 의해 지원 가능 점수는 달라질 수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은 재림예수인 듯' 출판기념회 "정치-종교, 인간-신의 경계 넘나드는 시도"
한미 관세·안보 협상 팩트시트 최종 합의..李대통령 직접 발표
대장동 일당 변호인조차 "항소 포기 상상도 못해…김만배 가장 이익"
민주당 '검사징계법 폐지안' 발의…검사도 '파면' 길 열리나
날벼락 맞은 특검…황교안·박성재 구속영장 기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