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통용되고 있는 화폐는 1만원짜리가 최고 고액권이다. 그러나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만원짜리로는 부피가 너무 커 수표가 많이 사용된다. 수표를 발행할 때 드는 수수료는 물론이거니와 손님이 제출한 수표를 은행에서 바로 사용불가 도장을 찍어 폐기하는 것도 낭비라는 생각이 든다.
이같은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는 5만원권, 10만원권 등 고액권 화폐를 발행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만원권 지폐가 처음 선보인 것은 지난 73년이라 한다. 그 당시 1만원이었던 쌀 한가마니 값은 지금 15만원을 웃돌고, 20원하던 버스 요금은 700원이 됐다. 물가는 20~30배 올랐는데 화폐 최고 고액권은 30년째 1만원짜리에 머물고 있다는 것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일부에서는 고액권이 발행되면 물가가 오르는 등 부작용을 우려하지만 커진 경제규모에 걸맞은 화페단위가 나올 때라고 보여진다.
장영환(대구시 조야동)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