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대선 패배 이후 당의 진로를 놓고 연일 난상토론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상황은 토론에 그치지 않고 권력 투쟁과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며 심화되고 있다. 또 소장파와 중진, 서울.수도권과 영남이 갈려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지난 22일 선대위의장.위원장단 연석회의를 개최한데 이어 23일엔 최고위원회의와 국회의원 및 지구당위원장 연석회의를 잇따라 갖고 의견수렴에 나섰다. 특히 민주당에서 당 개혁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상황과 맞물려 더욱 위기감에 휩싸이고 있는 것이다.
논의의 방향은 당 쇄신과 단합중 어느 쪽에 무게중심을 두느냐에 따라 갈리고 있다.즉 쇄신론이 폭넓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나 의원 개개인별 이해관계 등과 맞물리면서 단합론과 맞서고 있는 형국이다.
일단 현 지도부는 대부분 단합론 쪽으로 기울고 있다. 즉 전당대회를 조기 개최, 새 지도부를 선출한뒤 이들을 중심으로 당 쇄신과 단합을 기함으로써 오는 2004년 총선에 대비하자는 것이다. 전대까지는 현 지도부가 과도적으로 당을 이끌어간다는 것이다.
반면 강재섭 최고위원의 경우 전대 이전에 지도부는 총사퇴하고 당 운영을 위한 임시기구를 설치, 쇄신안도 동시에 마련한 뒤 새 지도부를 선출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물론 조기 전대에 대해서도 일부 중진들은 반발하고 있다.
신경식 의원은 "급격한 개혁추진으로 당이 동요할 경우 차기 총선에서 참패할 가능성이 높다"며 "총선 전까지 현 체제로 가면서 대여 투쟁력을 강화해야지 당권투쟁을 하면 탈락하는 세력들이 여당으로 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결국 조기전대가 오히려 당내분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논리이다.
특히 개혁.소장파 의원들 쪽은 선개혁을 주장하고 있다. 환골탈태를 통한 전면적인 당 쇄신이 우선되지 않는 한 조기 전대는 종전과 같은 당권싸움 외엔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결국 인적청산을 통한 세대교체론으로 이어지고 있다. 당 운영에 대해선 당의 체중을 확 줄이고 국회내 활동을 강화하는 원내정당화 등의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이와 관련, 당내 소장파 모임인 미래연대는 "오늘 연석회의 결과를 지켜본 뒤 전체회의를 소집, 대응책을 논의할 것"이라는 등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당 진로를 둘러싼 논의가 팽팽히 맞서자 내분이 증폭.폭발된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특히 소장파의 반발이 거세지고 민주당의 개혁움직임이 가시화될 경우 한나라당은 정풍운동에 휩싸이면서 혼미 국면에 빠져들 가능성도 있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한나라당 조작개표설 놓고 고심
지역중진 명암 갈랐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