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애인보다 장애인들이 종교활동에 대한 욕구가 더 높지만 대다수 종교시설이 장애인 편의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편의시설 시민촉진단'은 최근 시내 종교시설 29개를 대상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상태를 점검한 결과 조사 대상의 70% 가량이 장애인 접근 불편 시설로 판단됐다고 밝혔다.
이 단체에 따르면 조사대상 시설 중 68%(19개)는 주출입구에 계단이나 턱을 설치해 휠체어 접근을 막고 있었으며, 2층에 예배공간을 마련한 10개 중 승강 설비를 갖춘 곳은 4개였다. 화장실 경우 조사대상의 90%가 넘는 27개에서 출입문턱이 높아 휠체어 통과가 불가능했다.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지정률도 32%에 불과했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럭이나 점자안내문을 설치한 곳은 하나도 없었다.
대구 편의시설 시민촉진단 오동석(뇌성1급)씨는 "장애인들은 의지할 곳을 찾기 때문에 종교 욕구가 강하지만 일반시설들보다 종교시설에서 장애인 편의시설이 더 낙후돼 있다"고 평가했다. 대구시와 장애인단체들이 함께 만든 이 단체는 각 종교시설에 편의시설 보완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