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애인보다 장애인들이 종교활동에 대한 욕구가 더 높지만 대다수 종교시설이 장애인 편의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시 편의시설 시민촉진단'은 최근 시내 종교시설 29개를 대상으로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상태를 점검한 결과 조사 대상의 70% 가량이 장애인 접근 불편 시설로 판단됐다고 밝혔다.
이 단체에 따르면 조사대상 시설 중 68%(19개)는 주출입구에 계단이나 턱을 설치해 휠체어 접근을 막고 있었으며, 2층에 예배공간을 마련한 10개 중 승강 설비를 갖춘 곳은 4개였다. 화장실 경우 조사대상의 90%가 넘는 27개에서 출입문턱이 높아 휠체어 통과가 불가능했다. 장애인전용 주차구역 지정률도 32%에 불과했으며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블럭이나 점자안내문을 설치한 곳은 하나도 없었다.
대구 편의시설 시민촉진단 오동석(뇌성1급)씨는 "장애인들은 의지할 곳을 찾기 때문에 종교 욕구가 강하지만 일반시설들보다 종교시설에서 장애인 편의시설이 더 낙후돼 있다"고 평가했다. 대구시와 장애인단체들이 함께 만든 이 단체는 각 종교시설에 편의시설 보완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경철기자 koala@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