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파트 주권 주민이 찾는다

도시 주거문화가 아파트 중심으로 전환된 가운데 대구에서 '아파트 주권 운동'이 본격화되고 있다.

시청·구청·건설사·관리사무소 등에 일임해 왔던 생활과 관련한 각종 권한을 주민들이 단결해 주체적으로 행사하겠다는 것. 대상은 관리비, 전기료, 난방, 음식물쓰레기 문제에서부터 주민에 의한 아파트 이름 선택권, 교통권, 교육권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달서구 120여개 아파트단지(7만여 가구) 입주자 대표들은 17일 오후 6시 이곡동 아드리아웨딩에서 사단법인 대구시 아파트입주자연합회 달서지회 창립대회를 가졌다.

입주자대표 등 400여명이 참석한 대회에서 대표들은 "7만가구 40여만명이 힘을 합쳐 음식물쓰레기, 전기료, 아파트 이름짓기, 교육, 교통문제, 난방 문제 등과 관련한 주민권리 찾기운동을 전개할 것"이라고 천명했다.

대구에서는 작년 3월 아파트입주자연합회가 출범한 뒤 동구·수성구 아파트입주자연합회가 결성돼 이미 매월 정기모임을 통해 아파트 주민들의 권익 보호 활동을 벌이고 있으며, 오는 3월에는 북구지회, 4월에는 달성군지회, 6월에는 남구지회가 출범할 예정이다.

달서지회도 이들 연합회와 연대해 아파트 주권 운동을 벌여나가기로 했으며, 윤치영(48·한마음타운 입주자대표) 지회장은 "아파트에 따라 천차만별인 관리비 표준화를 이뤄내고 아파트 전기요금 제도, 음식물 쓰레기 처리, 도시가스 및 인터넷망 사업체의 일방적 영업 행태 등을 주민 위주로 바꾸기 위해 연합회와 공동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달서구 경우 인구 60여만명의 90% 이상이 아파트 거주자여서 아파트 문제가 바로 지역문제이기도 한 실정이며, 이번 연합회 창립에는 137개 단지 중 120여개가 참여해 회원 가구는 7만, 회원 인구는 40만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대구 아파트입주자연합회 이재윤 총회장은 "교통·환경·교육 등 각종 문제에 주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려면 대표성을 지닌 기구를 결성해야 한다는 인식 위에 구·군별 연합회를 확충해 나가고 있다"며 "교통난 해소와 환경 문제가 우선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17일 창립대회에는 황대현 달서구청장, 도영환 달서구의회 의장 등도 참석했다.

최창희기자 cch@imaeil.com

문현구기자 brando@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