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에서 승리한 지 벌써 45일. 환호와 박수가 가득했던 민주당 대구·경북지부는 개점휴업 상태다.
선거를 지휘했던 친 노무현 성향의 선대위 사람들이 모두 원위치로 돌아간 뒤 민주당사는 선거 이전의 '절간'과 같던 상황이 재연되고 있다. 대선의 와중에 친노와 중도 반노 등으로 패가 갈려 싸운 당내 갈등의 여파가 아직도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친노파들은 시도지부 '접수'를 기다리고 있고 중도 내지 반노파들은 교체를 기정사실화 하면서도 그 때 까지는 사무실을 마냥 지키고 있는 상황이다. 게다가 중앙당에서 벌어지고 있는 권력투쟁이 아직 결론이 나지 않은데다 현행 당헌·당규 상 시도 지부장을 무작정 교체 내지 경질할 수도 없어 변화가 지체되고 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선거 이전은 말 그대로 개점휴업이었지만 선거 이후는 일대 변화의 소용돌이를 앞 둔 '폭풍전야'와 같다는 것이다.
▨민주당 바뀔 것인가=이처럼 민주당의 변화는 예고돼 있다.
시간의 문제다. 다만 아직 중앙당이 교통정리가 안 돼 그 파장이 지방에까지 미치지 않고 있을 뿐이다.
25일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식이 치러지고 한 차례든 두 차례로 나눠 치러지든 전당대회를 통해 새 지도부를 구성하고 나면 그 다음은 시도지부가 도마 위에 오르게 된다. 그 이후 일선 지구당에 대한 대대적인 수술도 예정돼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바로는 중앙당의 축소와 시도지부의 활성화가 민주당 변화의 골간이다. 이강철 민주당 개혁특위위원은 "원내정당화를 장기적인 목표로 중앙당 기능의 정예화로 인원을 대폭 축소하고 가능하면 사무총장과 대변인제를 폐지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앙당은 정책기능 외에 조직관리 등 타 기능을 대폭 축소하는 등 최소한의 역할만 수행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특히 지금껏 시도지부가 지부장의 개인 사비 내지 후원회비로 운영돼 사무처 요원이 중앙당보다는 지부장의 '사병(私兵)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당 사무처 편제에 편입되도록 할 방침이다.
중앙당과 시도지부의 인사 교류도 가능해진다. 그러나 정당의 구조조정이라고 시도지부도 감원의 바람이 부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분권화의 기류와 맞물려 인력 교체는 불가피하겠지만 상근 인원은 더 늘어날 지도 모른다.
정책기능을 강화하고 중앙당 권한을 대폭 시도지부로 이관하게 된다. 지구당도 변화 대상에서 예외가 아니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지난달 23일 지구당위원장 연찬회에서 "지구당위원장의 기득권 포기가 당 개혁의 요체"라고 강조한데다 민주당내에서도 지구당 폐지론이 제기되는 만큼 대대적 개편이 불가피해 보인다.
현행 대의원 손으로 위원장을 뽑는 상향식 공천제가 현 위원장의 기득권만 공고하게 하는 '기만적' 상향식이라는 점에서 개방형 국민경선제를 도입할 가능성이 높다. 또 공천심사기구의 강화를 통한 스크린 제도도 강화될 것이다.
▨내세울 사람이 없다=하지만 제도를 그럴 듯하게 바꾼다고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결국에는 사람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당장 1년여 앞으로 다가온 총선에 내세울 만한 사람을 찾기가 어렵다. 지역 정서상 거의 모든 인적 자원을 한나라당이 독식한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현역 의원 전원이 한나라당 소속인 것은 물론 정치 예비군 가운데 경쟁력을 어느 정도 갖춘 인사들도 대부분 친 한나라당 계열이다.
친 민주당 성향이거나 지난 대선에서 노무현 대통령 만들기에 주력한 인사들은 주로 과거 학생운동을 한 인사들이거나 지식인 그룹들이지만 표를 얻을 수 있는 '전투력'을 지닌 사람들은 눈닦고 찾아봐도 드문 실정이다. '인재 풀'이 절대 부족한 것이다.
때문에 내년 총선을 앞두고 일선 지구당에 대한 변화는 실제 효과는 미미한 '소문난 잔치'가 될 공산도 없지 않다.
노무현 정부의 첫 1년이 그야말로 순항해 지역 정서가 돌아서지 않는 한 민주당이 내세울 '선수'들은 한나라당 후보에게 역부족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같은 현상은 당장 새 정부와 청와대의 요직 인선에서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발탁하려 해도 사람이 없다는 것이다.
권위주의 시절 요직을 차지했던 대구·경북 인사들은 많지만 이후 인재 양성이 제대로 안 된데다 있는 사람들마저 모두 친 한나라당 일색이어서 이들을 제외할 경우 '씨가 말랐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라는 것이다. 이 특위 위원은 지역에 내려올 때마다 "인적 네트워크의 새로운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래야 노무현 정부의 성공도 가능하고 지역 정치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는 것이 이 위원의 주장이다.
따라서 민주당은 제도 변화와 함께 인적 자원의 발굴과 양성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함께 풀어나가야 할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
李 대통령 "韓 독재정권 억압딛고 민주주의 쟁취"…세계정치학회 개막식 연설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강선우, 임금체불로 두차례 진정…국힘 "자진 사퇴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