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 성장에 성공한 한인들은 이제 질적으로 한단계 도약해야 할 때입니다".
미 칼스테이트 로스앤젤레스 주립대 사회학과 유의영 교수. 한국에서 대학을 졸업한 뒤 유학길에 올라 학위를 취득하자마자 교수로 임용돼 미국에 정착하게 된 유 교수는 미국내 한인사회에 대한 관심과 집착을 버리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관련 연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유 교수는 특히 한미연합회(KAC) 등 한인단체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한인사회가 풀어나가야 할 과제와 올바른 정착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한인 이민 100주년의 의미에 대해 유 교수는 '더 이상 생존을 염려해야 할 때가 아닌 만큼 한인들은 이제 폐쇄적인 성향을 극복하고 미국 내에서의 제역할을 적극적으로 찾아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때를 맞았다'고 정리했다.
유 교수는 '한인들은 동화 속도가 더뎌 비슷한 경제력을 갖춘 중국계 또는 일본계는 물론이고 심지어 이민 역사가 훨씬 짧은 베트남계 이민자들보다 미국내 사회적·정치적 기여도와 역량이 떨어진다'며 '돈 많이 벌고 자녀 교육만 잘 시키면 그만이라는 방관자적 의식을 버리고 이민 100년 역사에 걸맞은 장기적인 공동체 발전 전략을 마련해 미 주류사회에 적극 참여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인들은 그동안 목소리를 대변해 줄 만한 정치적 인물도 마땅히 없어 항상 사회적으로 소외돼 온 게 현실'이라고 지적하는 유 교수는 '그러나 미국에서 교육받은 2, 3세 이후의 이민 세대들은 미국 사회를 완벽히 이해하고 언어장벽도 없어 앞으로 20~30년 이내에 미 정치계와 공직사회를 빠르게 장악해 나갈 것'이라고 낙관했다.
유 교수는 '지난해 월드컵 때 한국말을 거의 못하고 김치도 먹지 않는 이민 후세대 수만명이 누가 시키지도 않았는데도 LA 뉴욕 등 미국 대도시 주요도로를 점령한 채 태극기를 휘두르며 목이 터져라 '대~한민국'을 외쳐댄 것을 본다면 민족적 정체성은 외형적으로만 판단할 수 없는 것'이라며 '한인 고유의 정서와 소질을 미국적 상황에 맞춰 보존하고 계발하는 방법으로 '동화'와 '정체성 유지'라는 두마리 토끼를 다 잡는 데 성공한다면 이민 200주년을 맞는 다음 세기에는 매우 힘있고 강인한 민족으로 성장해 있을 것임을 확신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