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죽으면 눈물 한 방울 흘리잖고
먼 산이나 하염없이, 하염없이 바라볼
마침내 말없을 그대
영영 말 잃을 그대
천지에 환한 봄일 적에 나 죽으리천년을 읊은 그 봄날 나 죽으리
그날에
나 죽은 그날에
영영 말 잃을 그대
이정환 '별사(別詞)'
고려가요에서 김소월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시는 주로 이별을 당하는 쪽 즉 피해자의 입장에서 많이 노래해 왔다.
그런데 이 시조는 이별을 주는 쪽 즉 능동자가 주체가 되어 노래하고 있다.
그것도 천지가 환한 봄날 나 떠나면 영영 말 잃을 그대라는 몸서리치도록 황홀한 믿음의 정한으로 읊고 있다.
평시조의 틀을 지니면서 자유시가 주는 행간의 의미와 호흡도 적절히 살리고 있다.
권기호(시인.경북대 명예교수)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