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 나뭇잎 한 장에서는
아, 하고 바스러지는 한 컷의 시간이 만져진다.
수만 개의 나뭇잎을 매달고 있는 가문비나무 숲 속에 들어가면
아, 하고 바스러지는
수만 컷의 시간이 겹쳐져 있다
명암과, 정신의 높낮이로 읽어야 하는
사람의 아픈 몸 어디에도
아! 아! 으, 으, 소리치지 않는 곳이 없다
마음의 모든 현을 끊어버린다
다시는 바이올린을 듣지 않으리라
송종규 '흑백필름'
우울한 추억은 대개 흑백 필름으로 윤색된다.
처음 그것은 바이올린 선율처럼 도입부의 한 컷(마른 나뭇잎 한장)으로 촉발된다.
그 선율 따라 모든 협주음(수 만 개의 나뭇잎)이 뒤따르고 드디어 추억의 지층이 쌓여 있는 인간의 세포마다 악보가 되어 흐느끼게 되면서 시인은 마침내 바이올린 그 자체가 된다.
현을 끊고 귀를 막지만 이미 소리가 된 그 울림은 끝없이 허공 저편으로 퍼져 나가고 있다.
권기호〈시인·경북대 명예교수〉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