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옆 동네 골목 어귀에서 싸움이 붙었다.
한쪽은 강 건너 동네에서 원정 온 덩치 큰 녀석인데 힘도 무지 세고, 우리 동네가 어려울 때 도움도 준 적이 있는 친구였다.
덩치뿐만 아니라 잘 먹고 매일 열심히 운동을 해서 그 당시 당할 자가 없었다.
다른 한 쪽은 자기 동네에서 멀리 원정 온 큰 덩치를 맞아 필사적으로 싸우고 있었다.
큰 덩치의 이 친구는 감성보다는 명분과 목적을 가지고, 주위 여러 동네에 싸우기 전에 이유를 설명하고 설득도 했다.
늘 혼자 충분히 싸워 이길 수 있으면서도 우리에게도 불편하게 싸움에 동참하기를 원했다.
우리 동네에도 해결해야 될 일이 한 두 가지가 아닌데 말이다.
우리 동네의 성향은 강자와 약자가 싸울 때는 늘 약한 자의 편에 서서 눈물을 흘려주는 편이기도 하고, 한편으로 도움을 받거나 관계를 맺은 곳은 끝까지 보답해주는 의리의 사람들 이기도 했다.
우리 동네는 고민, 고민 끝에 의리를 지키기로 했다.
그래서 큰 덩치가 싸울 때 옆에 서서 옷이라도 들어주기로 했다.
필자는 작금 일어나는 우리나라의 현실을 지켜보면서 지난날 골목어귀에서 일어났던 일들과 우리를 생각해본다.
우선 이 덩치 큰 친구 (엉클 샘)를 정확하게 평가해야 한다는 점이다.
그 들은 지금 한쪽에서는 생사를 넘나들며 전쟁을 수행하고 있고 또 다른 한 쪽에서는 입에 뭔가를 씹으며 메이저 리그 야구를 즐기고 있다.
50 주의 각기 다른 동네들이 합쳐서 이 덩치를 키웠고 감성보다는 냉철하고도 논리적으로 일을 처리하려고 한다.
우리도 그렇게 해야 된다.
기왕에 어렵고 힘든 고민 끝에 내린 결정이다.
우리도 정확한 논리를 갖고 최대한의 실리와 명분을 요구하고 낯도 내야겠다.
그들은 곧 우리동네 일에도 도움을 주거나 고의성은 없다 하더라도 피해를 줄 수도 있다.
필자의 십 수년 가까운 그 동네에서의 삶의 경험은 그들을 이제 조금 이해할 것 같다는 것이고, 그들과의 일에 관한 한 우리들은 더욱 신중해야 하고 세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계명대 FISEP 겸임교수)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