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처음 만난 사람에게 가장 최초의 기억이 무엇인지를 묻는 습관이 있다.
대개는 사건의 문맥으로부터 벗어난 기억의 편린들에서 나는 그 사람의 가장 내밀한 운명을 읽어본다.
어떤 관념에도 물들지 않은 시절에 자신의 본성으로 기억하는 그 순간이야말로 자신에게 가장 합당한 길이 무엇인가를 말해 주는 것이 아닐까? 그는 과연 자신의 앞에 미리 마련된 그 길을 온 것일까?
내게 그 기억은 마당에 진 감꽃과 그 위로 내리던 빗방울이다.
아마 이른 아침이었던 것 같은 그 순간은 '삐이걱'하고 열리면서 길 위로 내 어린 발을 딛게 했을 것이다.
길은 다시 어머니의 가윗밥으로 생긴 천 조각들을 한없이 만지작거리고 그것을 몹시 소중히 간직하던 아이에게로, 화집을 끼고 있던 몽상적인 여학생에게로 이어진다.
이제와 생각하면 그 기억의 조각들이 얼마나 강렬한 삶의 動因인지.
그렇지만 나의 가족들은 내가 그렇게 자랐다는 것을 잘 모른다.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냥 그 시절에는 아이들이 그렇게 홀로 자신만의 방을 가지고 자랐던 것 같다.
시간은 충분했었다.
한 시절을 그냥 몽상으로 보낼 수도, 공부를 작파하고 지낼 수도 있었다.
그 시간에 아이들의 내밀한 방은 누구와도 비교되지 않는, 객관화될 수 없는 크기와 모양으로 자라 준 것이 아닌지….
이제 고등학교 3학년인 딸아이는 이 늦은 시간에도 집에 오지 않는다.
아마 낮에 함께 공부했던 내 학생들도 지금 학교에 있을 것이다.
우리 아이들은 하루에 열 일곱 시간을 입시 경쟁에 시달리면서 자신의 방을 어떻게 만들어 가는 것인지. 어느 때보다 물질적으로 풍요한 시대의 이 아이들은 어쩐지 가난했던 우리보다 더 지쳐 있는 듯하다.
졸고 있는 아이들을 깨우면서 나는 참 갑갑하다.
우리는 아이들을 자신 앞에 놓인 삶의 길을 바라볼 기회를 박탈하고 오직 조금 덜 실수하는 평균적 인간으로 만들어 가는 것은 아닌지 두렵다.
우리 모두는 고유한 존재이며, 그러므로 우리 삶의 내밀한 방 또한 고유해야 하지 않겠는가.
조미향 경신고등학교 교사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